Page 38 - 메타코칭 문해력 독해력 챌린지 20호
P. 38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챌린지 20호
- 문단 별 중요한 핵심구절에 밑줄치고 요약한다.
언어독해 - 논리적인 흐름을 연결하고 전체적인 주제를 파악한다.
증기
대중문화의 왕국에서는 광고가 재상(宰相)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만큼 광고와 대중문화와의
관계를 단적으로 나타낸 말도 드물 것이다. 대중문화가 지배하는 문화 형태를 이루고 있는 시대는
곧 광고의 시대이며, 광고는 대중문화의 성격을 규정한다.
광고대행사에 취직한 사람들은 입사하자마자 일본말부터 배운다고 한다. 우리 나라처럼 외국의
문물이나 정보를 많이 접해서 국제 경쟁력을 키워야 하는 처지에서 보면 외국어 실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러므로 어느 나라 말을 배우건 탓할 일은 아니다. 오히려 장려해야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광고 대행사에 입사하자마자 곧 일본말부터 배우도록 하는 데에는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점이 있다. 그것은 우리 광고가 일본 광고를 그대로 모방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 다음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외국인이 우리 광고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것 역시 우리
상품에 국적 불명의 상표를 붙이는 것과 같은 발상에서 나온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내수 상품에
외국인을 모델로 쓴다고 해서 굳이 나쁠 것도 없고 또 그래서는 안된다는 원칙이 있는 것도
아니므로 외국인을 모델로 등장시키는 것은 선택의 자유라고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외국인을 내세워 호기심을 부추기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 마땅한
것이다.
대중문화의 발전은 광고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러므로 대중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
광고문화 자체가 향상되어야 한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일본 광고의 모방과 상표에서의
외국어 남용 등에 대해 깊은 반성이 있어야 하겠고 이런 토대 위에서 좋은 광고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555자)
*내수 상품: 국내에서의 수요를 위해 만든 상품
페이지 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