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메타코칭 문해력독해력 챌린지 21호
P. 8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챌린지 21호
- 문단 별 중요한 핵심구절에 밑줄치고 요약한다.
언어독해 - 논리적인 흐름을 연결하고 전체적인 주제를 파악한다.
전통이란, 한 집단이나 겨레의 역사 속에 하나로 이어져 내려오는 정신적인 맥락을 말한다.
전통은 인습(因襲)과는 다르다. 인습이 새로운 역사를 이룩해 가는 과정에서 마땅히 버려져야 할
찌꺼기라면, 전통은 오히려 새 역사 창조에 없어서는 안 될 씨앗이요 밑거름이다. 따라서, 전통
문화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옛날의 문화적, 정신적 바탕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옛 것 중에서
오늘에 되살릴 만한, 가치 있는 문화적, 정신적 바탕을 뜻하는 것이다.
개화기 이후, 우리는 줄곧 서구 문명을 모범으로 삼고 거기에 맞추어 따라가려고 애써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서구 사회는 우리가 생각하듯 이상적인 것만은 아니다. 오랫동안 노력을 경주한
끝에 고도의 산업화 사회를 이룩하여, 물질적 풍요와 번영을 누리는 데에는 성공하였다. 그러나 그
부산물(副産物)로서, 마땅히 주인이요 주체이어야 할 *인간이 오히려 한낱 기계의 부속품이나 물질의
노예로 전락해 가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데에 그들은 몹시 당황하고 있다. 인간답게 살아 보려고
이룩한 물질 문명이 오히려 인간에게서 따뜻한 사랑과 정(情)을 빼앗아 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는 서구 사회는 동양의 사상에서 그 해결책을 찾으려 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지금 동양을 배우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우리 한국인에게 강하게
남아 있는, 부모와 노인과 조상을 섬기는 정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제, 우리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은, 우리의 장래뿐만 아니라 전 인류 문화의 *밝은 빛이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582자)
*인간이 오히려~ 전락해 가는: 인간성 상실, 비인간화 되어가는
*밝은 빛: 희망, 길잡이
페이지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