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2025년 03 월 20 일 온라인 매일신보
P. 20
매일신보
2025.03.20<목>
그중에는 임신부 상태가
[사설] 상황이 1년 넘게 이어지고
워낙 위급해 이송 시간 자 있다.
병원 마당에서
체가 부족한 경우도 있고, 응급의료 위기는 중장기와
구급차 분만… 단기의 두 측면에서 병행
병원까지 거리가 너무 먼
곳이어서 병원 밖 긴급 분
응급의료가 해 대응해야 한다. 당장의
만이 불가피한 경우도 있 응급환자에게 중장기 대책
응급 상태다
다. 하지만 최소한 절반 이 이 마련될 때까지 기다리
상은 이송 시간에 여유가 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응급 상태 임신부가 119
있고 비교적 가까운 데 병 중장기적으로는 응급의료
구급차로 병원에 실려 갔
으나 수용을 거부당해 응 원이 있음에도 수용을 거 시설과 인력 확충, 의료전
부당한 경우인 것으로 알 달 체계 효율화, 공공의료
급실 문 앞에 정차된 구급
려졌다. 지난 10일 경기 안 강화 등 개혁 과제를 차질
차 안에서 출산을 하는 기
산시에서 양수가 터진 임 없이 추진해야 한다. 단기
막힌 일이 벌어졌다. 이런
사실은 전국공무원노조 서 신부가 병원 40여 곳에서 적으로는 응급의료 종사자
입원을 거부당해 뺑뺑이를 에 대한 보상 강화 및 병
울소방지부가 응급의료 개
돌다가 구급차 안에서 출 원의 응급환자 수용 의무
선을 촉구하기 위해 17일
산한 것이 전형적인 사례 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국회에서 연 기자회견을
통해 드러났다. 구급대는 다. 지금 응급의료는 응급조치
가 시급하다.
문제는 구급차 분만을 일
전날 인천공항에서 쓰러진
상화하다시피 한 산과 응
외국인 임신부를 인하대병
급체계 붕괴만이 아니다. 이데일리 원문
원으로 옮겼으나 병원에서
“산과 수용이 어렵다”고 응급의료 전반이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나오기
해 전화로 수용해줄 다른
시작한 지 수십 년인데 아
병원을 알아보느라 시간을
직도 해법 찾기는 오리무
지체하다가 구급차 안에서
직접 아기를 받아야 했다. 중이다.
응급의료는 시장논리에만
그런 뒤에야 인하대병원이
맡길 수 없으므로 공공의
산모와 신생아를 수용했다.
료 역할 강화가 필요하지
만 그 첫 단추인 의사 공
이와 비슷하게 구급차 안 급 확대 정책부터 의료계
에서 아기를 낳는 임신부
반발에 부닥쳐 표류하고
가 1년에 100명을 넘는다.
있다. 게다가 전공의들의
사나흘에 한 번꼴로 구급
차 분만이 발생하는 셈이 의료 현장 집단이탈로 인
력 부족이 더욱 심각해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