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한미기업인친선포럼 25.6월호
P. 17

다음  달  6월  3일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그간  계엄선포,
              탄핵소추,  헌법재판소  판결까지  4개월간  우리  사회는  편가

              른  격렬한  시위와  대립으로  혼란을  겪어왔고  양편의  간극은
              아직도  좁혀질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건국  이래  우리  대통
              령은  자살,  투옥,  해외  도피  등  은퇴나  퇴진  이후  명예로운
              모습을  보인  경우가  거의  없었다.
                일찍부터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채택한  선진국들에  비해  왜

              우리만  유독  이런  모습을  보이는  것일까.  우리보다  인종적
              다양성이나  민주주의의  역사  등에서  갈등의  소지가  훨씬  큰
              미국의  경우는  오히려  퇴임  대통령들에  대해  도서관이나  기
              념관을  건립해주고,  국가적으로  중요한  대외적인  사안이  생
              길  때  이들이  특사로  나서서  일을  해결하는  사례를  많이  보

              여주고  있는데  말이다.



                                         ‘미래  먹거리’  신산업  발굴  등  과제  산적


              그것은  우리  사회에서  대통령이  지명할  수  있는  일명  돈  되고  명예  얻을  수  있는  ‘자리’가  많
            고,  동원할  수  있는  자원  규모가  커서  대통령의  권한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
            된다.  대법원장  임명,  헌법재판소  재판관  추천  등  사법부는  물론이고  집권  여당의  당직  배분과
            공기업  및  공공단체장  임명  등  대통령의  실질적  권한은  소위  분립된  3권  위에  대통령이  군림

            하고  있다고  볼  정도이고  이에  따라  대통령의  역할에  대한  기대  또한  큰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선거판  줄대기,  선거자금  제공  등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이상할  것이  없다.  그간  우
            리  사회가  대통령에게  이러한  큰  권한을  부여한  것은  경제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인력,  예산,
            조직  등  국가의  자원  동원을  용이하게  하고  ‘일사불란’한  일  처리가  가능한  체제였기  때문이
            다.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