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한미기업인친선포럼 25.6월호
P. 21

문성우  정회원

                                            본  포럼  정회원인  문성우(법무법인  바른  대표)은  최근  서울회
                                          현  로타리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나아갈  길”이라는  제목으로  강
                                          연을  하였음.  그가  최근에  출간한  같은  제목의  저서를  바탕으로
                                          행한  강연에서  문회원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이념적,  지역적,  세
                                          대적,  계층적  갈등을  치유하지  않고  그대로  안고  가는  한  민주
                                          화를  달성한  모범국가로  인증받기는  불가능하다는  것은  강조  하
                                          였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앞으로는  (1)  선거제도를  바꿔  호남
                                          과  TK가  양당구도로  되도록  하고  (2)  선거의  자유,  사법권의  독
                                          립,  언론의  자유는  철저히  보장하되  (3)  그  중  선거로  등장한
                                          권력은  민주국가의  일부분  일  뿐,  비선거  조직인  군,  경찰,  검
                                          찰,  법원,  교회,  정단,  기업들도  국가를  구성하는  중요한  기구
                                          이므로  이들의  권리와  사명을  중시하는  제도를  만들어  내야  한
                                          다는  것을  주장하였음.





              이기남  석좌회원
                본  포럼  석좌회원인  이기남  원암문화재단  이사장은  세계  여러
              곳의  문자  없는  민족들에게  한글을  그들의  공식  문자로  채택하
              도록  하기  위해  <훈민정음세계화재단>을  창립하고  그  산하에
              <훈민정음학당>을  세계  여러  곳에  설립하였음.  특히  2025년부
              터는  인류의  문맹퇴치를  위해  1천만명  서명운동  (대행진이라  칭
              함)을  시작하고  있음.  동  운동은  학생  1인당  월  1천원,  성인  1
              인당  월  1만원의  성금을  기부받는  운동으로  이를  통해  장기적으
              로는  우리  한글이  국제문자로  대두하는  날이  올  것을  기대하고
              있음.


                                          이용만  석좌회원

                                            본  포럼  석좌회원인  이용만  본  포럼  석좌회원  (전  재무부  장
                                          관)은  최근  “이용만  해  주세요!”라는  제목으로  유튜브를  개설하
                                          였음.  공개  1주일  만에  6.7만  조회수를  기록하였고  구독자  수
                                          가  5월  23일  현재  1만  3700명에  달했음.  지금까지  그가  살아

                                          온  얘기를  기록으로  남기며  17세  소년으로  6.25  한국전
                                          쟁에  참전해  겪었던  혹독한  시련과  공무원이  된  후  3명의  대통
                                          령을  모시고  한국경제  발전  과정에서  경험  했던  일을  생생하게
                                          방영하고  있음.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