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2 - 의의나무제자훈련(ebook)
P. 232
는 의식을 수행하려는 자를 도와 의식에 들어가는 비용을 대주었던 것입
니다.
바울과 함께 한 세 사람이 나실인 서원의식을 치를 때에 야고보가 필요한
비용을 대주었던 사실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습니다(행 21:23-24). 이처럼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나실인 서원은 개인의 의식만이 아니라 유대인 전
체의 의식이었던 것입니다. 누군가 나실인 서원을 하려 할 때 그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비용을 도와주는 것은 그 사람의 영광이 되었습니다. 하나님
께 거룩한 삶을 살아가려는 서원자를 도와주는 것이 하나님께서 선하게
받으시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유대인에게 있어서 나실인 서원은 매우 중
요한 의식이었습니다. 나실인 서원은 이스라엘 백성으로 하여금 거룩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매우 중요한 의식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지도자가 타락하고 선지자가 타락함에 따라 나실인이 되려는 사
람들을 오히려 하지 못하게 가로 막았습니다. 아모스 선지자는 이스라
엘의 서너가지 죄악에 대해서 언급할 때 그 부분을 지적하였습니다(암
2:11-12). 하나님께 있어서 나실인은 매우 중요한 제도입니다. 나실인 서
원을 통해 온 백성이 거룩한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도자
가 하나님의 방법대로 살지 못하고 선지자가 하나님의 뜻을 깨닫지 못할
때 나실인으로 살아가려는 이 땅의 청년들을 가로 막게 되는 것입니다(미
3:11).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거룩한 나라인 이스라엘이 타락해진 것은 지도자들
의 문제였습니다. 이스라엘 지도자는 정직한 재판보다 뇌물을 받고 부정
한 재판을 행하였습니다. 이스라엘의 제사장은 삯을 원하면서 백성을 가
르쳤습니다. 이스라엘의 선지자는 돈을 받고자 하나님의 뜻을 전달해 주
었습니다. 그러면서 "여호와께서 우리 중에 계시지 아니하냐?"라고 백성
의 마음을 안심시키며 "재앙이 우리에게 임하지 아니하리라"고 거짓 증거
를 하였습니다. 결코 하나님께서 그렇게 타락한 이스라엘을 가만히 놔두
지 않으시겠지만 그것을 알고 있었던 지도자와 제사장과 선지자가 거짓
으로 증언했던 것입니다.
결국 이스라엘은 바벨론에 의해 멸망을 당하고 말았으며 그 일로 인해 2
천년이나 되는 긴 세월동안 나라없는 백성의 삶을 살아야만 했던 것입니
다. 하나님께서 거룩한 백성으로 삼으셨던 이스라엘 백성이 스스로 거룩
한 삶을 포기하며 살았더니 그런 비참한 고통을 당하고 말았던 것입니다.
우리는 이스라엘을 교훈삼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선민으로 선택받은 백성
이라 할지라도 거룩하지 못하면 비참한 고통을 당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
232 _의의나무제자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