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제3권
P. 16

및 개인화된 정당과 사당적 요소, 강한 지역주의적 정당, 정당 내 비민주적 의사결정구조, 정당의 이
                  념부재와 정책전문성 결여 등이 한국의 정당들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들이다. 여기에서는 각 공화국

                  별로 정당구성을 개관하면서 오산시와 화성군의 정당등록 상황을 자료가 허용하는 수준에서 검토해
                  보기로 한다.






                  제2절    제1공화국시대(1948~1960)


                    해방과 더불어 일제강점기하에서 조직되고 활동하였던 모든 정치세력들이 좌·우파를 망라하여

                  활성화되었다. 1947년 6월 22일 미·소공동위원회가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협의대상으로 정당 및 사
                  회단체의 설립신청을 받았을 때에 무려 463개가 신청하였던 적이 있었다. 정당과 사회단체의 개념과

                  경계가 사회적으로 정립되지 않았고 해방 이후 자유롭게 다양한 정치실험이 시도되었던 시기에 나타
                  난 현상이었지만 이후의 정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파벌의 존재는 오히려 자연스럽게 보인다. 유

                  엔총회의 결의에 따라 실시된 5·10 제헌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조선공산당과 남북협상세력 등이 불
                  참한 채 이승만 계열과 한민당 인사, 그리고 개인 차원의 중도좌파와 중도우파만으로 총 48개의 정당

                  이 참여하였다. 물론 이 모든 정치세력이 정당으로서 안정적인 활동을 지속하지는 않았다.
                    제1공화국시대에 창당되거나 합당·개편된 정당은 26개로 파악되는데 대표적인 정당은 자유당·

                  민주국민당·민주당 등이었다. 특히 자유당은 집권당으로서 중앙당부, 지방당부 및 세포조직을 두는
                  매우 강력하고 정밀한 정당이었다. 아래 표는 시대별 정당변천사항을 요약하고 있다.

                       정당명            등록일           대표자           정당명           등록일           대표자

                     건국준비위원회         1945. 8.28     여운형          조선국민당         1945. 9. 1     안재홍
                      한국민주당          1945. 9.16     이승만          조선인민당         1945.11.12     여운형
                      사회노동당         1946.11.12      여운형          노동인민당         1947. 5.24     여운형
                      조선공산당           1925. 4       박헌영         남조선노동당         1946.11.23      허헌
                      한국독립당           1930          이승만          조선민족당         1945. 8.28     김병로

                      한국국민당          1945. 9. 4     백남훈          신한민족당          1946. 3       오세창
                     대한독립촉성회         1946. 2. 8     이승만          민주국민당         1949. 2.10     신익희
                      대한국민당         1948.11.12      신익희        대한여자국민당         1945. 8.18     임영신
                       자유당          1951.12.17      이승만           민주당          1956. 1.24     신익희

      오산시사
                    이 글에서는 수원·화성·오산 등지에 지구당 또는 연락사무소를 두었던 정당에 한해 주요 상황을

                  알아보기로 한다. 그러나 제1, 2공화국시대의 지구당 자료는 존재하지 않으며 제3공화국 시대 이후만
      제

      3           핵심적인 사항 위주로 정리하고자 한다. 특히 지구당과 연락사무소는 중앙당 창당과 더불어 설치되어
      권
                  중앙정치의 지역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본격적인 지방자
                  치의 실시 이후에는 중앙정치와 지방정치가 공존하면서 지역의 정치적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었다.
     1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