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1 - 제6권_Neat
P. 151

어가는 산 정상 부분에 있다. 2005년 5월 이 산은 일부분의 수종갱신이 진행된 상태로, 산의 상당부                                      149
                  분에 벌목이 함께 진행되었다. 벌목이 진행된 부분의 일부에는 복숭아 나무가 심어져 있다.                                               구비전승

                    오리골의 제당은 오리골에서 금암동을 넘어가는 고개 부분에서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약 300미
                  터 정도 올라 복숭아나무가 심어진 곳을 지나 정상부분에 자리한 소나무이다. 이 소나무는 다른 소나                                          · 민속

                  무에 비해 수령이 약간 더 되어 보이지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제당으로서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는                                          · 경기도당굿과
                  편이다. 나무의 주변으로는 여러 기의 민묘들이 있다.

                    신목은 벼락을 맞아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 있었고, 남아있는 나무의 일부분도 고사한 상태이다. 떨
                  어져 나간 가지는 제당 옆 무덤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신목으로 여겨지는 나무의 가지이기 때문에
                                                                                                                    경기재인청
                  함부로 치울 수 없기 때문이다. 신목의 주위는 약 서너 평정도 크기로 평평한 상태이다. 제를 지낼 때
                  는 이 부분에 차일을 치고 제물을 진설한다.

                    제당이 있는 곳에서 산의 주능선을 따라 오리골 방향을 내려오면, 제당과 약 100미터도 채 되지 않                                        /  성씨
                  는 곳에 바위가 있다. 이 바위는 두 개의 바위가 나란히 세워져 있는 모양으로 바위의 앞부분에는 잡                                         · 인물

                  석을 이용해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
                    제물은 소머리, 황계수탉, 삼색실과, 3되 3홉 분량의 백설기 등이다. 예전에는 쇠머리 대신 당우물

                  이 있는 곳에서 소를 잡아 각 부위별로 고르게 올렸다. 제물로 올리는 황계수탉은 깨끗하게 털만 뽑
                  은 채 생으로 올렸고, 조라술은 당주가 당일 아침에 담가 제당의 신목 옆에 묻어 두었다가 저녁에 걸

                  러서 사용하였다. 소를 잡아 제물로 올리기도 하였는데 이는 마을의 그해 형편에 따라 달랐다. 농사
                  가 풍년인 경우 소를 사서 올리고, 흉년일 경우 제를 지내지 않거나 소머리로 대체하였다. 소를 사서

                  올리는 경우 소의 선택은 못 생기고 고기가 많이 나올 것 같은 것을 택하였다고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마을 제사에 올리는 가장 비중 있는 제물로서의 기준과 크게 다른 것이다. 못생긴

                  소와 고기가 많이 나올 것 같은 소를 구입하는 것은 정상적인 소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많은 양의
                  고기를 얻을 수 있는 현실적인 조건이 가장 크게 고려되었던 것이다.

                    제물로 소를 잡을 경우 각 가구별로 쌀 1말 정도를 냈다. 소를 사서 올렸던 것은 약 40년 전까지의
                  상황으로 당시 쌀 1말의 가격은 농가에서 대개 3일 치의 임금에 해당하였다. 지금은 소머리를 준비해

                  올린다.
                    산제당에는 당주와 제관, 축관, 심부름꾼 등 남자들만 올라가 지낸다. 제의는 초헌, 독축, 아헌, 종

                  헌, 소지로 진행된다. 제사를 마친 후 올리는 소지는 당주, 제관, 축관, 심부름꾼, 마을 사람들의 순이
                  다. 소지를 마친 후에는 제물을 조금씩 떼어 제당에서 조금 떨어진 바위에 둔다.



                                                      梧里洞山祝稧座目

                                                           小春
                                                    戊戌陽月提月之夕粧冊

                                                           孟文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