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 오산문화총서 3집
P. 66

로에 10리 간격으로 작은 사선형태의 눈금을 찍었다.               69)
                        여기에서 눈금의 간격이 고르지 않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산지와 평지의 차이를 평면에

                      나타내기 위해 고안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지만 굴곡진 도로를 직선으로 표시하면서 나타나는
                      오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강구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東輿圖에는 이전에 비해
                      古蹟이나 古城址의 표시가 두드러진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고지도인 大東輿地圖(奎10333)는 1861년 김정호가 작성했다. 이것은 靑
                      邱圖를 완성한 후 그 내용을 보충하고 수정하여 東輿圖를 제작하고 이를 목판본으로 제작한 지
                      도이다.

                        제1층 여백에 方眼 축척이 있고 ‘每方十里ʼ라 적혀 있으며 군현간 도로 위에는 10리마다 눈금
                      을 찍어서 실질적인 축척을 지도에 표시하였다. 한편 축척과 관련하여 周尺을 사용하여 6척을

                      1보로 하고 360보를 1리로 하며 3,600보를 10리로 했다. 주척의 길이에 대해 여러 설이 있지
                      만 대체로 20.7㎝~21.2㎝ 정도이다. 이를 기준으로 10리를 환산하면 4.47~4.58㎞가 되어, 흔
                                                                  70)
                      히 10리를 4㎞로 계산하는 것과는 차이가 분명하다.  그리고 地圖標를 제시하여 동일한 정보
                      를 동일한 기호로 표시하여 체계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한 지도이다. 그런데 東輿圖와 비교해 본
                      다면 목판본의 특성상 많은 주기를 생략하여, 간결하면서도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선별

                      했다. 고성지의 표시에 있어서도 동여도는 女牆 형태의 성곽 모습으로 표현한 반면, 여기에서는
                      산지 내 흰색 원으로 표시했다. 동여도와 비교해 본다면 목판본의 특성상 많은 주기를 생략하
                      여, 간결하면서도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선별했다. 독산성은 두 지도에서 ‘禿城’으로 기
                      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1872年 地方地圖(奎12157)는 19세기 국가적 차원의 지도제작 진행 결과 이룩한
                      성과이다. 고종대 丙寅洋擾와 辛未洋擾를 경험하면서 국방 강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사회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게 되었다. 즉 국방과 치안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각 지방의 상
                                                                                               71)
                      황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였으므로, 1872년 전국 군현 지도를 제작하게 되었다.  따라
                      서 이 지방지도에는 각 지역의 營·鎭堡와 같은 국방 관련 시설이 잘 표현되어 있을 뿐 아니라,

                      자연지리 역시 천험의 방어시설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도 필사(회화) 형식으로 표현
                      해 놓았다. 더불어 驛院·場市·道路·古蹟 등도 기록되어 있어 지리적 상황과 함께 폐허가 된






                      69) 서울大學校奎章閣, 2006,『東輿圖 -解說·索引』.
                      70) 서울大學校奎章閣 1995,『海東地圖 -解說·索引』. 이우형, 1990,『大東輿地圖의 讀圖』, 匡祐堂.
                      71) 이보다 앞서 1871년에는 전국 단위로 邑誌 편찬이 이루어졌다(嘉耕考古學硏究所, 2016, 『天安 銅城山城 試掘調査』).



                      64  한신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고고학실습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