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오산시역사문화
P. 79

받고  한국을  떠났다.  1967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해서  아리조나주  피닉스시에서  살

                  다가  2004년  5월에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이러한  남아있는  전투  기록으로  보면  북한  인민군의  남진을  쉽게  저지할  수  있으
                  리라는  미군의  낙관적인  기대가  얼마나  큰  오판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하겠다.
                  뿐만  아니라  스미스부대원들도  미군이  전선에  나타난  것을  알면  북한  인민군이  겁

                  을  먹고  달아날  것이라는  맥아더  원수의  말을  별  의심  없이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
                  이었다고  봐진다.
                    북한  인민군과의  첫  지상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은  미군은  커다란  충격을  받았으
                  며,  동시에  북한  인민군의  전투  능력에  대해  처음으로  정확하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스미스부대와의  최초  교전은  북한으로  하여금  미군의  한국전  참전  사
                  실을  확인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남침  공산화  통일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  전

                  투라고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오산  갈곶리  전투  상황





                      한국군의  오산전투  참여  상황을  보도록  하자.


                    황해도  웅진반도에서  철수한  한국군  제17연대가  스미스부대를  지원할  임무를  띠고
                  오산으로  이동한다.  17연대는  LST와  민간어선을  이용하여  웅진반도에서  1950년  6

                  월  26일에서  27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인천으로  철수한다.  그러나  17연대의  피해는
                  적지  않아  113명이  전사했고  371명이  부상했으며  64명이  실종됐다.  그리고  인천에
                  상륙한  부대는  많은  혼란을  겪게  되는데,  일부  병력은  트럭으로  영등포와  수원을
                  경유해  대전에  집결했고  잔여부대는  걸어서  혹은  열차편으로  대전에  있는  본대와

                  합류하였다.
                    대전에  집결한  제17연대의  병력은  1200여명이었으며,  현지에서  2500명의  신병을
                  보충  받아  재편성하였다.  편성을  마친  제17연대는  연대장  백인엽  대령의  지휘  하에
                  하루의  전투훈련과  휴식을  가진  후  비장한  각오로  전투에  임하게  되었다.  제17연대
                  는  1950년  7월  2일  기차로  대전을  출발하여  평택에  도착한  다음  도보로  오산까지
                  전진하였다.

                    그러나,  17연대는  7월  3일  오전  평택에서  아군에  수송될  보급품의  하역  작업을  한
                  창  진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날  오후  3시쯤  호주  공군기의  편대가  나타나더니,
                  이  화차를  폭격하기  시작한  것이었다.  적의  열차로  오판하여  오폭한  것이다.  이  오
                  폭으로  평택역은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평택  시내의  건물과  인명에도  많은  피해를

                  주었다.  제17연대장  백인엽  대령도  부상을  당해  후송  조치되었다.  조종사가  한국의




                                                           79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