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 - 오산시역사문화
P. 82
5. 죽미령 전투 후 오산 상황과 전투의 의의
이로서 오산지역은 적 북한 인민군 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인민군은 2개월 18
일간 오산지역을 지배하다가 미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보급로가 끊기고 미군의 공
격을 받게 되자 퇴각하기 시작한다. 1950 년 9월 24일부터 28일까지 미31연대 제
2대대는 인민군 전차대와 수원-오산간 국도 및 철로 변 지대에서 전투하였고,
1950년 9월 28일까지 인민군의 모든 진지를 탈환하였다.
서울 수복 후 3개월 10일 만에 유엔군은 중공군의 개입으로 1951년 1월 7일 오산
을 다시 포기하게 된다. 그러나 유엔군은 1951년 1월 15일 오산지역의 중공군을
물리치고 1951년 1월 16일 오산을 재탈환하게 된다.
6·25전쟁(한국전쟁)은 전 국토가 전쟁터이었으나 최초의 전투가 유엔군과 북한군
사이에 시작된 곳이 오산이므로 오산 죽미령의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하겠다. 3
년 1개월간의 전쟁으로 한국 역사상 가장 커다란 피해를 입은 전쟁이었다. 남북한
에서 150만의 사망자와 360만의 부상자가 생겼으며 온 국토가 파괴되어 초토화되
었다. 이 전쟁으로 민족 내부에 갈등이 심화되고 남북한 대립이 고착되었다. 이러한
이유로도 김일성은 민족의 씻을 수 없는 반민족적 행위자인 것이다. 1953년 7월
27일 휴전이 성립될 때 미국으로부터 한미상호안전보장조약이 체결될 수 있었던 것
은 미군이 한국전쟁 최초의 전투를 담당하였고, 인명피해를 입은 죽미령 전투의 역
사적 의미를 함께 나눈다는 혈맹의 동맹군으로 공동방위의 필요성을 공감한 때문이
다. 북한군도 오산 죽미령 전투에서 제4사단 문화담당 부사단장을 포함하여 전사자
42명, 부상 85명의 인명피해를 냈으며 전차 4대를 잃었다.
한국전쟁이 국제적인 성격을 지닌 것은 오산지역에서의 전투양상에서 분명히 나타
난다. 국군, 북한 인민군, 유엔군(미군), 중공군이 이 지역을 중심으로 싸웠고 소련
은 북한 인민군을 지원하였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오산지역은 1950년 7월 5일부터 9월 22일까지 2개월 18일
동안 공산당에 의한 인민위원회를 경험했다. 마을인민위원회는 인민위원장, 여맹위
원장, 서기장, 자위대장 등이 선출되었는데 새로 선출된 인물은 다른 지역에서 온
좌익계 사람들이었다. 당시 오산리에 인민위원회 사무실이 있었고 주민의 권유로
총대를 멘 사람들이 있기는 했지만, 혈연집단과 씨족 구성이 강한 이곳에서는 마을
청년들을 도피시켜 의용군 모집에 응한 숫자는 적었다. 토착 좌익활동가들이 농민
위원회나 민청위원장을 맡기는 하였으나, 의용군 지원을 권유하였을 뿐 강제적으로
징집하지는 못하였다. 인민위원회의 주도하에 토지개혁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이루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