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제2권
P. 97

기 위한 방편이었다. 반면 지방민의 입장에서 이러한 군현체제는 일종의 억압기구로 작용하기도 했                                            97
                  다. 부세의 부담이 컸던 속현과 부곡지역 주민에게는 이중의 수취부담을 주었다. 이러한 예는, 1067                                        역사

                  년(문종 21) 2,800칸의 흥왕사(興王寺) 완공기념으로 열린 연등 대회를 위해 수주를 비롯한 안서(해                                       /  유적
                  주) 도호부·개성부·광주·양주·동주(東州-철원)·수주(樹州-부평) 등 5개 주와 강화·장단 두

                                                       13)
                  현에서 흥왕사를 꾸미는 비용을 부담시키는  한편,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이 홍경원(弘慶院)을 수리                                         · 유물
                  하는데 승정(僧正) 자부(資富)와 지수주사(知水州事) 봉우(奉佑)에게 그 일을 주간하게 하고 여러 고

                                                                               14)
                  을 장정들을 징발하였으므로 폐해가 매우 컸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지방 수령의 탐학 역
                  시 경기지역에서와 마찬가지였다. 경대승(慶大升)의 족형(族兄)인 손석(孫碩)의 부친이 수주(水州)의

                                                                                              15)
                  수령으로 있으면서 탐오가 심하고 착취가 끝이 없었으므로 백성들이 고통을 받고 있었다.  물론 수
                  주의 수령을 지낸 신안지(愼安之)처럼 정사를 청백하고 엄숙하게 하여 그 고을의 아전들이 그를 어렵

                                                        16)
                  게 여기고 백성들이 존경한 경우도 있었으며,  1195년(명종 25) 정월에 명종의 생신을 맞아 수주(水
                  州) 정곡촌(廷谷村)에 사는 104세 되는 늙은 할머니가 있어 자손 95명을 모두 국가 부역에 내보냈다

                  는 말을 듣고 그 할머니에게 곡식 30석(石)을 내려준 경우도 있었다.                  17)
                    한편, 12세기 이후 농업생산력이 발전하면서 지역 간의 발전격차는 어느 정도 해소되어 개별 지방

                  민간의 경제적 격차도 크게 줄어들었다. 발전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설정된 부곡제는 그 기능을 상실
                  해가지만 고려정부는 이 제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과중한 수취를 받았던 속현과 부곡제 주

                  민은 크게 반발하기 시작하였다.
                    12세기 초반 민의 대대적인 유망 현상은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유망은 본거지를 벗어나 다

                  른 지역으로 이동함으로써 부세수취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소극적인 저항형태였다. 이는 군현제와 부
                  곡제 등 각 영역 단위로 독특한 수취를 실현한 차별적인 수취체제 때문이었다. 과중한 수취 부담에서

                  벗어나는 길은 해당 영역에서 이탈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유망 현상은 비교적 수취가 많은 속현이나
                  부곡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12세기 초반부터 시작된 유망 현상의 근본 원인은 군현체제의 모순, 곧 군현과 부곡, 주현과 속현
                  등으로 구성된 불균등한 군현구조에서 나타난 군현체제의 모순 때문이었다. 특히 부곡제 지역은 군

                  현지역에 비해 특정한 역을 더 부담하였다. 그 가운데 소는 자기·종이·먹 등의 수공업제품과 미
                  역·소금 등의 해산물, 금·은·동·철 등의 광산물을 생산했는데, 12세기 초 여진정벌과 대외무역

                  의 성행 그리고 14세기 대원관계의 진전에 따라 은·도자기·종이 등에 대한 수용가 급증하면서 소
                  주민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이로 인한 주민들의 유망으로 군현체제의 한 축을 이루던 부곡제는 현실

                  적으로 유명무실한 존재가 되었다.
                    고려 정부는 유망과 항쟁의 대책으로 12세기 초에 감무를 파견하였다. 또한 12세기 말 13세기초에




                  13) 『高麗史』 권8, 문종 21년 정월 庚申.
                  14) 『高麗史』 권98, 열전11 高兆基傳.
                  15) 『高麗史』 권100, 열전13 慶大升傳.
                  16) 『高麗史』 권97, 열전10 劉載 附胡宗旦·愼安之傳.
                  17) 『高麗史』 권20, 명종 25년 정월 癸卯.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