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전시가이드 2025년 11월 E-book
P. 117
접수마감-매월15일 E-mail :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보자기×젓가락 연결 짓기’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도자, 목칠, 섬유, 금속 등 공예의 모든 분야를 총망라한 국제 종합 예술 행사
로 국내·외 공예를 한자리에 모아 2년에 한 번 개최되고 있다. 공예가 지닌 일상성과 예술성의 조화
로운 균형 속에서 동시대인들의 정서를 읽고 감성을 표현하는 문화 행사로서, 2025 청주공예비엔
날레는 전통과 현대를 잇고 일상과 예술을 연결 짓는 창의적인 장으로 생활 속에 익숙하게 스며든
젓가락과 보자기가 어떤 예술적 작품으로 탄생해 세상을 연결 짓게 될지 기대할 수 있다. 공모전과
연계한 <동아시아문화도시 청주>는 청주가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선정된 2015년부터 일본 니가타
시, 중국 칭다오시와 꾸준히 이어온 국제교류 사업으로, 올해는 ‘2025-2026 한·일·중 3국 문화교
류의 해’국비 공모에 선정되 동아시아 3개국이 참여하는 젓가락·보자기 전시, 포럼, 워크숍 등 다양
한 문화교류를 진행할 예정이다.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는 오는 9월 4일(목)부터 11월 2일(일)까
지, <세상 짓기 Re_Crafting Tomorrow>를 주제로 문화제조창과 청주시 일원에서 60일간 열린다.
(문의: T.043-219-1085 / www.okcj.org)
리탄박물관에 이어 국립중앙박물관이 5위를 차지할 용산 개관 20주년 기념 <20년의 이야기, 유물과 ▶
수 있다. 외국인과 젊은 세대의 방문도 크게 늘었다. 외 사람> 갤러리 및 미술관 소식
국인 누적 관람객 수는 185,705명으로 역대 최다였던 국립중앙 ▶ 두고갤러리 전시장 임대
2024년 수치(198,085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박물관(관 한달 한 코너 윈도우 전시를 앞. 뒷면. 초특가 100
또한 8월은 여름방학과 휴가철이 겹치며 관람객이 가 장 유홍준) 만원 임대하며 6분을 모십니다.
장 많이 찾은 달로, 대학생과 젊은 세대, 관광객의 방문 은 용산 개 (T.010-3277-6069)
이 집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T.02-2077-9237 관 20주년
을 맞이해 ▶ 지미갤러리 강남 개관
흥선 스님, 국립중앙박물관에 탁본 등 1,143점 기증 ’조금 특별 지미갤러리 강남(관장 김혜정)이 서울의 중심지
한 관람’ 테헤란로에 개관하였다.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20년의 이야기, 유물과 사람>을 개최한다. 12월 28 20길 5, 삼한빌딩 7층 (T.010-9269-9269)
일(일)까지 상설전시관에서 이루어지는 이 행사는
‘20점의 유물, 20년의 기억’을 찾아가는 관람 프로그 ▶ 갤러리코브 (관장 이동영)
램이다. 용산 개관 이후 20년간 박물관의 학술 연구와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32길 42-16, 아트앤하트
큐레이팅 등 다양한 활동으로 새로운 가치를 축적하 코브 1층 (T.02-563-2010)
며 관람객들과 함께 성장해 온 여러 소장품들 중 20점
을 선정하였다(. 상설전시관 곳곳에 전시 중인 이들을 ▶ 2025년 양구군 미석예술인촌 주택용지 분양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조계종 탁본 명장 흥 따라가는 여정에는 지난 20여 년간 각 유물과 남다른 양구군에 정착하여 전문 예술인으로 10년 이상의
선(興善) 스님으로부터 전국 각지에서 채탁한 금석문 인연을 맺어 온 박물관 사람 20여 명의 이야기가 담겨 기간동안 회화, 설치미술, 조각, 공예, 판화 등 미술
탁본 등 총 558건 1,143점의 소장품을 수증했다. 흥선 있다. 분야에서 창작활동, 비평, 기획 등 지속적으로 활
스님은 불교중앙박물관장과 김천 직지사 주지 등을 (T.02-2077-9237) 동가능한자 (T..033-480-7226)
역임하였으며 40여 년간 전국의 주요 금석문을 채탁
해 온 탁본 전문가로 2024년에 대한불교조계종의 첫 2025년 양구군 미석예술인촌 주택용지 분양공고 ▶ 충무아트센터 갤러리 26-27 정기 대관
탁본 분야 명장으로 지정되었다. 흥선 스님의 탁본은 「양구군 미석예술인촌 조 (재)중국문화재단 충무아트센터 충무갤러리(3개
부정확하며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한계를 극복 성 및 지원조례」 제5조3항 관, 300여펴얘 정기대관 (T.02-2230-6731)
하고, 금석문의 가치를 후세에 온전히 전하기 위하여 에 의거하여 양구군에 정
전국에 있는 금석문을 체계적으로 조사·채탁하여 모 착하여 문화예술 활동의 ▶ 월간 전시가이드(주)인크라트) 이전
은 것이다. 이번에 수증한 탁본은 이러한 집대성의 일 뜻을 이어갈 역량있는 예 전시가이드가 중구 동호로로 이전하였다.
환으로 스님이 직접 채탁하거나 감독하여 제작한 것 술인들에게 양구군에서 서울시 중구 동호로 27길 25, 2층 (CU편의점건물)
으로, 삼국시대에서 조선 시대까지 한국의 금석문을 조성한 주택용지를 분양 (T.02-2275-2999)
폭넓게 망라하는 자료이다. 탁본 기증으로는 역대 최 하고자 공고한다. 신청요
대 규모로, 삼국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우리 금 건은 양구군에 정착할 의
석문화의 흐름을 포괄한다. 흥선 스님의 탁본은 금석 사를 가지고 있는 미술분
문의 내용을 정확히 옮기고 조형적 아름다움까지 담 야의 전문 예술인으로 활 뉴스 및 공모전 정보제공
아내, 학술적 가치와 예술성을 겸비한 것으로 평가받 동요건은 10년 이상의 기간동안 회화, 설치미술, 조각, 전시가이드는 미술, 공예, 사진, 서예 등
는다. 박물관은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고 전 공예, 판화 등 미술분야에서 창작활동, 비평, 기획을 꾸 미술관련 소식지로 전국 갤러리의 전시일정 및
시와 연구를 통해 금석문과 탁본의 의미를 국민과 공 준히 해왔고, 공고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위와 같은 미리보는 전시 등을 게재합니다.
유할 계획이다. (T.02-2077-9237) 활동을 할 의사가 있어야 한다. 신청접수는 11월 12일 각지역 단체 및 학교, 협회 등에서 진행하는 공모전 소식이나
*탁본: 돌, 금속, 나무 등에 새긴 글씨나 그림을 종이와 까지이다. (T.033-480-7226) 갤러리소식 등 독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뉴스 및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먹으로 그대로 찍어내는 것
매월 15일까지 crart1004@hanmail.net
*금석문: 돌, 금속 등에 새긴 기록 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T.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Tel. 02)2275-2999
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