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 - 전시가이드 2023년 09월 이북
P. 82
미리보는 전시
김표중, Carrotopia #2314, 53x45.3cm, 이한주, 다시 나의 별이 되어줘, 정민희, Discover-garden space #43, 72.7x90.9cm,
Oil on canvas, 2023 116.8x91cm, Oil on canvas, 2022 Acrylic on canvas, 2023
김표중 작가가 풀어내는 작업의 주된 소재인 ‘캐롯토피아(Carrotopia)’는 당근으로 만들어진 유토피아를 의미하며,
이한주 작가가 그려낸 상상 속 유토피아의 공간은 어떠한 풍경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재구성된 자연이다.
정민희 작가는 자본주의 사회구조 속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익숙한 공간으로부터 순간적으로 낯설게 다가오는 것들을 새롭게 발견하고 찾아간다.
2023. 8. 31 – 9. 20 비디갤러리(T.02-3789-3872, 명동역 3번출구)
몽상 : Daydream
이한주 작가가 그려낸 상상 속 유토피아의 공간은 어떠한 풍경 그대로의 모
김표중, 이한주, 정민희 습이 아닌 재구성된 자연으로 여러 가지 판타지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이
곳에서의 문은 안과 밖을 차단하고 있지만, 그 경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도 한다. 일상과 환상은 아주 멀리 있는 듯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모두가
3인 기획 초대전 가진 특별함이 있고, 문을 여는 조금의 변화로 그 경계가 허물어진다. 문 앞에
잠든 고양이, 동화 속에서 나온 듯한 동물들. 작품 속 생명들은 여리지만 경계
없이 평화롭다. 이처럼 작가는 유토피아를 통해 한 차원 더 편안한 쉼, 숨, 안
락함, 고요함 등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일상과 환상의 경계에서 재창조된 초
글: 비디갤러리 제공
현실적 공간과 시선으로 무수한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정민희 작가는 자본주의 사회구조 속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소외를 극복하
김표중 작가가 풀어내는 작업의 주된 소재인 ‘캐롯토피아(Carrotopia)’는 당 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익숙한 공간으로부터 순간적으로 낯설게 다가오는
근으로 만들어진 유토피아를 의미하며, 토끼가 답답한 현실을 벗어나 이상향 것들을 새롭게 발견하고 찾아간다. 특히 산책 중 마주하게 되는 길게 늘어선
의 세계를 여행하는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토끼는 본래 예민한 동물로 정 가로수, 그리고 도심 속 자연이라 불리는 공원 숲길 등의 장소에서 영감을 받
신적으로 지쳐 긴장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과 닮아있다. 뿐만 아니라 토끼는 은 작가는 그러한 자연의 일부분을 확대하고 축소하며 정원을 가꾸듯 가상의
물과 그리 친하지 않은 동물이지만, 캐롯토피아 속의 토끼는 커다란 당근성 공간을 만들어낸다. 또한 일정하면서도 무질서한 자연의 패턴을 수집하고, 연
과 폭포, 그리고 바닷가를 넘나들며 휴식을 즐기고 있다. 이는 감상자에게 긍 결되고 끊어지는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보여지는 나뭇잎 사이사이의 공간들
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함과 동시에, 그림 속 토끼처럼 숨 막히는 현실에서 벗 을 찾아 그것을 캔버스에 담아낸다. 이렇게 반복되고, 다시 미세하게 달라지
어나 일상 속 작은 삶의 여유를 가지길 바란다는 작가의 메시지가 담겨있다. 는 것들을 기록하며 발견된 비-일상의 순간들은 외부적으로 발생되는 소외
와 불안을 극복하게 해줄 수 있다고 작가는 이야기한다.
80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