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 - TIEP
P. 3
Unit 1 Milgram’s Experiments and the Power of Authority
그러나 실험 결과는 예상과 전혀 달랐다. 실험에 이
참가한 40 명 모두 300 볼트까지 전기 충격을 주었고, 그
65%나 되는 피험자가 가장 강한 충격인
450 볼트까지도 전기 충격을 주었다(Milgram, 1974).
실험은 권위자가 명령을 할 때, 명령을 받은 사람들이
권위를 거부하지 못하고 얼마나 그것에 취약한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복종의 원인>
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은 복종이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기인한
결과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들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광고를 통해 모인 각계각층의 정상적인
사람들이었으며, 결코 심리적으로 비정상적인 사람이 아니었다(Milgram, 1964).
그렇다면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학생이 고통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데도 왜 전기 충격을 계속
주었을까? 실험자의 권위라는 상황적 요인과 개인의 윤리적인 판단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피험자들은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만들어 냈다(Milgram, 1974).
첫째, 자신에게는 실험의 결과에 따른 책임이 없다고 생각한다. 즉, 실험으로 인해 학생이 위험한 상황에
빠지게 되더라도, 그것은 실험을 주관하는 실험자의 책임이지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Milgram, 1974).
둘째, 전기 충격은 학생이 단어를 암기하지 못한 대가라고 생각한다. (Milgram, 1974).
셋째, 이 실험은 과학적인 실험으로 개인의 희생이 따르더라도 감수해야 하는 것이며, 사사로운 감정
때문에 전기 충격을 주는 것을 그만둠으로써 실험을 망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밀그램은 권위에 복종하는 것이 생존하기 위해 진화 과정에서 습득된 것이고 인간의 본성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인간은 태어나서 끊임없이 복종을 강요 받고 배우며, 인간이 모여서 수행하는 거의
모든 일은 위계 질서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인으로서의 인간과 위계 서열 속에서의 인간은
다르며, 그 구조 속에서 인간은 개성을 가진 개인이 아니라 단순히 권력자의 대리인 상태가
된다고 보았다.
3
그러나 실험 결과는 예상과 전혀 달랐다. 실험에 이
참가한 40 명 모두 300 볼트까지 전기 충격을 주었고, 그
65%나 되는 피험자가 가장 강한 충격인
450 볼트까지도 전기 충격을 주었다(Milgram, 1974).
실험은 권위자가 명령을 할 때, 명령을 받은 사람들이
권위를 거부하지 못하고 얼마나 그것에 취약한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복종의 원인>
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은 복종이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기인한
결과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들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광고를 통해 모인 각계각층의 정상적인
사람들이었으며, 결코 심리적으로 비정상적인 사람이 아니었다(Milgram, 1964).
그렇다면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학생이 고통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데도 왜 전기 충격을 계속
주었을까? 실험자의 권위라는 상황적 요인과 개인의 윤리적인 판단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피험자들은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만들어 냈다(Milgram, 1974).
첫째, 자신에게는 실험의 결과에 따른 책임이 없다고 생각한다. 즉, 실험으로 인해 학생이 위험한 상황에
빠지게 되더라도, 그것은 실험을 주관하는 실험자의 책임이지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Milgram, 1974).
둘째, 전기 충격은 학생이 단어를 암기하지 못한 대가라고 생각한다. (Milgram, 1974).
셋째, 이 실험은 과학적인 실험으로 개인의 희생이 따르더라도 감수해야 하는 것이며, 사사로운 감정
때문에 전기 충격을 주는 것을 그만둠으로써 실험을 망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밀그램은 권위에 복종하는 것이 생존하기 위해 진화 과정에서 습득된 것이고 인간의 본성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인간은 태어나서 끊임없이 복종을 강요 받고 배우며, 인간이 모여서 수행하는 거의
모든 일은 위계 질서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인으로서의 인간과 위계 서열 속에서의 인간은
다르며, 그 구조 속에서 인간은 개성을 가진 개인이 아니라 단순히 권력자의 대리인 상태가
된다고 보았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