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b-clip 11
P. 4

결핍, 어울림 그리고 위안
변대용 작가의 작품에서 내가 본 것은 ‘결핍’이다. 그리고 하나 더, 세상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결핍으로부터 벗어나고자 작가가 찾아낸 비상구, ‘어울림’이다. ‘결핍’과 ‘어울림’이라니...... 팝아트적인 경쾌함, 유머와 위트 등으로 이 작가를... 이들에겐 뜬금없는 소리로 들릴지도 모르겠다.
그의 작품에선 가지지 못한, 혹은 잃어버린, 그래서 처연한 존재들이 곧잘 등장한다. 너나없이 결핍을 앓고 있는 이들. 그들은 표정 없는 얼굴로 서로 를 외면한 채 서있는 군상(‘몽유병’)으로, 시력을 잃은 아버지와 상처입은 부엉이, 개의 모습(‘밤’)으로, 붙은 몸으로 살아야 하는 샴쌍둥이(‘동상이 몽-샴푸우’)로, 허공을 응시할 뿐인 메두사(‘위를 보는 메두사’)로 우리 앞 에 나타난다. 또 텅 빈 속을 드러낸 슈퍼스타(‘안녕-빌린 장갑을 쓴 마이클 잭슨’)도, 버려진 유기견과 홈리스(‘유기견과 유기인’)도, 녹아내리는 빙하 가 야속하기만 한 백곰(‘북극곰과 아이스크림’)도 나온다.
작가는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내부에서 비롯되든 외부에서 강요되든 그 모든 ‘결핍’을 불러낸다. 그리고 군중 속의 고독을 아파하는 내면의 결핍을 지나, 가족과 사회와 세상의 결핍으로 시선을 확장해 나간다.
그러나 작가는 ‘결핍’을 응시하되 결코 단절, 불안, 분열 따위에 함몰되지 않 는다. 그의 작품속에서 결핍을 아파하는 존재들은 서로를 마주하고 서로를 보듬고 서로를 나눔으로써 서로의 결핍을 채워나간다. 바로 ‘어울림’이다. 인간이 상어의 탈을 쓰고(‘핑크빛 상어’), 부처가 미키의 귀를 달고(‘미키 붓 다’), 두루미가 장화를 신고(‘장화신은 두루미’), 사슴이 가면을 쓰고(‘갈증 이 나다’), 장님과 메두사가 마주보고(‘장님과 메두사’), 유기견들이 쓰러진 노숙인 곁을 지키고, 생쥐와 고양이가 미키와 키티의 얼굴로 인사하고(‘키 티와 미키’), 사람과 북극곰이 서로를 업은 채 어딘가로 향하는(‘아이스크 림을 옮기는 방법’) 모습에서 결핍에서 벗어나는 ‘어울림’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작가가 최근 공력을 기울이고 있는 ‘검을 현’ 시리즈도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요가를 테마로 잡은 것부터 그렇다. 명상과 호흡과 신체수련을 통해 마음과 몸과 정신의 융화를 도모한다는 요가는 어울림으로 결핍을 극복하려는 노 력에 다름아니므로.
‘결핍’과 ‘어울림’을 지나 마침내 관객들이 그의 작품에서 얻게 되는 것은 ‘위안’이다. ‘너는 나다’는 공감을, ‘나는 너다’는 연대의 희망을 찾을 수 있 는 까닭이다. 그건 아마도 우리가 궁핍은 벗어났을지언정 더 많은 결
핍을 감내해야하는 시대를 살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이런 내적 성찰 말고도 만화 동화 우화에서 길러온 친숙한 캐릭 터들, 따뜻하고 산뜻한 색감, 부드럽고 매끄러운 질감, 소유욕 을 자극하는 정감 넘치는 형상 등등 단박에 다가오는 매력도 빼 놓을 순 없겠지만 말이다.
Lack, integrity and comfort
What I saw in the works of Byun Dae Yong artist is 'deprivation’. And one more thing : the Exit, 'beseemingness', the author found to escape from a lack of freedom. 'deficiency' and 'beseemingness' ...It may sound like a surprise to those who remember the author with pop art, humor and wit.
In his work characters lose many things. Like a man with a blind eye to his sight, a wounded owl, a dog, and a Siamese man who needs to live on his conjoined body, he appears in front of us staring into the air.
The artist calls for all 'deficiencies', whether physically or mentally, or in my department. And through the inner tribe of the people who suffer from the solitude of solitude, they extend their gaze to the family, society, and the lack of the world.
However, the author ignores 'deprivation' but never descends into isolation, anxiety, and division. People who suffer deficiencies in his work face each other's deficiencies by confronting each other and sharing each other and sharing each other. He called it 'beseemingness'.
It seems that the current series of 'geom-eul hyeon(Black)' which is the author of the author's latest achievement is not the same. That's why I caught yoga as a theme. Yoga, breathing, and harmony through meditation, breathing, and physical training are the same as trying to overcome the lack of unity.
It is 'comfort’ that gets out of his works after suffering 'deprivation' and ' beseemingness'. 'I am you' is the empathy and 'You are me' because I can find the hope of solidarity. Perhaps it is because we live in an era where we must endure more deprivation than poverty. Of course, you can not forget the charming characters that have fostered a familiar character in comic book fairy tales, warm colors, soft touch, smooth texture, sensuous texture, and charisma.
(Park Young Kyeong)
박영경 쓰다
그를---말하다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