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b-clip 11
P. 41

만들고자 했었다.
프로그레시브락의 경우를 보면 이러한 과정을 축소하여 보여준다. 에머슨레이크앤팔머 Emerson Lake & Palmer의데뷔앨범에수록된곡들은야나체크의신포니에타와바하의음악을기 본으로자신들에맞게편곡하고이를연주하였으며다음의‘전람회의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 앨범은 전곡을 클래식의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을 무그신테사이져와 전자기타 등 의 전자악기로 연주하여 원곡을 전자음으로 바꾸어 락음악으로 바꾸는 시도를 했다. 그 이 후의 앨범에서는 악기의 특성에 맞게 만들어진 편곡들과 변주가 수록되어 초기이후 다음 단계 모습을 보여주는데, 전자악기의 개발과 함께 다시 음악이 창조되는 서로 간 함께 맞물 린 새로운 음악을 만듦으로써 클래식을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탈리아밴드 뉴트롤즈New Trolls는 이와 다른 방향으로 오히려 클래식악기를 이용하였지만 그것이 기존 클래식 곡이 아닌 ‘아다지오Adagio’같은 자신들이 창작한 곡으로 새로운 음악 즉 포스트클래식인 것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렇게 창작의 기준이 클래식에 머물렀을 때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고 또 완벽히 새로운 것이라고 볼 수 없기에 전혀 다른 새로운 방법이 필요 했다. 그것이 앞서 언급한 방식으로 비유럽문화를 적극 도입하고 기존음악과 결합하여 새로 운 것을 창조하는 것으로 유럽권에서는 이 방법을 꾸준히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시도한 음악가로서 잘 알려진 경우가 비틀즈Beatles다. 비틀즈의 멤버 조지해 리슨George Harrison은인도문화에심취하여인도전통악기인시타Sitar를도입하여러버소울Rubber Soul앨범에 ‘Norwegian Wood’를 시작으로 서전트패퍼론리하트클럽밴드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앨범의 ‘Across the Universe’, ‘Within You Without You’ 등 악기를 이용한 인도색이 섞 인 음악을 만들었다.
시타연주자라비상카Ravi Shankar는비틀즈뿐만아니라에휴디메뉴인Yehudi Menuhin 등클래식연 주자들과도 협연하는 등 장르구분 없이 문화적 파급력은 대단했으며 그의 딸 노라존스Norah Jones가 현재 유명한 가수로 활동 중인 것도 그들의 작품들이 이국적인 것 이였기 때문이다. 식민지 인도의 지배국 이였던 영국의 음악가에 의하여 인도문화가 사용되고 전파되었다면 다른 유럽권, 특히 프랑스를 중심으로는 재즈나 락에서 그들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의 전통 적인 음악을 도입하고 더 나아가 이들과 협연하는 시도가 많았으며 현재도 진행 중이다. 아 프리카의 말리Mali문화는 오래전부터 아프리카문화의 대표로써 많은 문화예술, 그리고 음악
이 서구세계에 소개되고 소비되고 있으며 음악도 역시 소개 및 수입되고 있다.
말리와 인접국가 음악가인 Bassekou Kouyate, Ballake Sissoko, Kasse Mady Diabate, Tinariwen 등은 프랑스에 있 는 공연장에서 공연하며 앨범도 내는 등 서방세계의 시 장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새로운 문화와 예술의 발 견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며 유럽권의 문화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bassekou kouyate & ngoni ba
9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