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제5권_Neat
P. 15

그야말로 최대 위기에 봉착한 지금 삼농의 꿈, 그 해답을 IT에서 찾고자하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197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사이먼 쿠즈네츠 교수는 “농업발전 없이는 선진국이 될 수 없
                                                                                                                  13
                  다.”고 했다. 선진국 중에 농업이 발전하지 않은 나라는 거의 없다. 우리나라는 불과 한 세대 전까지
                                                                                                                  산업
                  농업 국가였다. 산업화 과정에서 사람들이 도시로 몰렸고 농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투자가 적었다.

                  농업이 주력산업의 변방으로 밀려나면서 발전속도도 더뎠다. 그러나 앞으로 개척할 부분도 많고 가                                            · 경제
                  치 창출의 기회도 많은 곳이 농촌이고 농업이라는 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보건

                    한국 농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급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부응해 생산자, 소비자 등 국민 모                                        · 환경위생
                  두가 공감할 수 있는 농업의 비전과 전략을 정부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농정에 대

                  한 농업인들의 신뢰가 부족한 가운데 농업, 농촌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 부족하여 정
                  책적 지원과 투자 확대에 대한 합의 도출도 쉽지 않았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농정방향과                                           · 사회복지

                  추진과제들이 제시되었으나, 중장기적인 농업의 미래모습을 상정한 발전전략이기보다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농업비전과 전략을 제시한 측면이 많았다.                                                                      /  사법

                    이에 여기서는 한국 농업을 둘러싼 메가트렌드 변화 양상과 농업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 등을 바탕                                          · 치안
                  으로 향후 한국농업의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는 동시에 농업의 바람직한 미래모습을 실현하기 위한

                  추진전략과 과제를 우리 모두 함께 고민해야만 한다.                                                                    · 소방
                    오산의 농업도 한국 농업의 테두리 안에 있으므로 한국 농업이 갖는 고민을 함께하는 것이다.                                            · 언론

                    오산의 대표적 전통산업이었던 농업. 이제는 타 산업에 밀려 겨우 명맥만을 유지한 채 오산에 존재
                  하지만 농업의 기록없이는 오래전 오산인의 생활기반이었던 삶의 근본을 잊게 될 것이다. 때문에 현

                  재 거의 명멸해가는 오산의 농업을 기술하는 것은 과거 우리의 원형을 찾는 일이 될 것이다.





                  제2절   오산의 농업입지(農業立地)





                  1. 오산시 농정의 일반적 실태


                    오산시는 과거 미작을 비롯해 축산, 원예농업 등에서 다른 지역보다 한발 빠른 기술도입과 농산물
                  품질의 우수성으로 명성이 높았던 전통적인 농업의 고장이었으나, 급속히 불어 닥친 산업발전과 수
                  도권에 위치한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많은 농지와 임야가 산업기지로, 그리고 최근에는 신도시의 택

                  지로 편입되면서 〈표 2〉,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년 면적의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표

                  1〉에서 보여주듯이 농가세대 및 농가인구 감소로 2017년 말 현재 농가호수가 1,160호로 오산시 전체
                  세대수의 1.36%, 농가인구는 3,686명으로 전체 인구의 1.66%에 지나지 않는 미미한 수준이다. 급격
                  한 고령화로 인한 농촌사회의 공동화 등 양적, 질적으로 악화일로에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농업은 식량생산이라는 중요성과 함께 공익적 기능이 큰 산업으로서,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전, 그리고 농업생산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자원 함양, 홍수조절, 대기정화, 생물종의 보존은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