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제5권_Neat
P. 17

표 3. 소유별 산림면적
                                                                                                 (단위 : ㏊)
                                                                                                                  15
                                                 국 유 림                         민 유 림

                          국토                    산림청소관                          공 유 림              산림율             산업
                    연도          총계                           타부처
                          면적          합계                            합계          시,도   시,군   사유림    (%)
                                            소계    요존   불요존    소  관        소계                                      · 경제
                                                                                유림    유림
                   2012  4,277  1,219   17   7     6     1     10   1,202   29   13    16   1,173  28.50           /  보건

                   2013  4,277  1,219   17   7     6     1     10   1,202   29   13    16   1,173  28.50
                   2014  4,277  1,219   17   7     6     1     10   1,202   29   13    16   1,173  28.50          · 환경위생
                   2015  4,273  1,135   30   7     5     2     23   1,105   22   1     21   1,083  26.56
                   2016  4,273  1,135   30   7     5     2     23   1,105   22   1     21   1,083  26.56          · 사회복지
                   2017  4,273  1,135   30   7     5     2     23   1,105   22   1     21   1,083  26.56

                                                                                     〈자료 : 오산시 통계연보 2018〉          /  사법




                  2. 지리적 위치                                                                                       · 치안 · 소방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기후, 풍토, 토양이 농업의 발달에 아주 적합한 지역이다.  내륙의 대부분은
                  구릉 및 산악 저지대로 구성되며 구릉과 산악지형 사이의 계곡을 따라 곡간지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                                          · 언론

                  이들 곡간 사이로 흐르는 크고 작은 하천의 하구에 부채꼴 모양의 선상지가 발달하는데 오산시도 이
                  와 유사한 지형특성을 갖는다. 오산시는 한반도의 중앙부인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다. 인근 시와 삼

                  면이 접하고 있는 형태로 북서쪽과 동쪽 일부는 화성시 정남면과 동탄면, 그리고 남동쪽은 용인시 남
                  사면 극히 일부와 평택시 진위면, 북쪽으로는 화성시 태안읍(병점1동, 화산동)이 접경해 있다. 도·

                  농·공의 복합지역을 이루고, 지형은 북동과 서남으로 폭이 짧고 서북과 남동으로 폭이 길며 도청소
                  재지인 수원과 16.9Km 떨어져 있으며 철도·고속도로·국도가 통과하는 산업·교통의 요충지를 이

                  루고 있는 경기도 전체 면적의 0.4%에 불과한 아주 작은 지역이다. 그러나 오산은 아주 높고 험한 산
                  악지대가 거의 없이 서해안에 인접한 200m 미만의 구릉들로 이루어져 있다.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

                  에는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의 잔적층을 모재로 하여 발달한 곡간지와 낮고 평평한 선상지가 가장 넓
                  게 분포하고 있다. 오산지역에 분포하는 곡간 및 선상지토양은 토심이 매우 깊게 발달하여 농경지로

                  이용되기 쉽기 때문에 논과 밭으로 이용된 역사가 매우 길다.
                    오산지역을 대표하는 2개의 큰 수계는 오산시를 관통하는 오산천과 오산의 서북부를 거쳐 서남방

                  향으로 오산시 외곽을 둘러싸고 흐르는 황구지천이다. 오산천은 용인시에서 발원된 크고 작은 여러
                  수계의 물이 기흥저수지에 유입되었다가 오산천이 되어 남쪽으로 흐르다가 오산시를 벗어나 평택시

                  에서 진위천과 합류하여 서해로 유입된다. 다른 작은 수계들, 즉 장지리, 산척리, 내삼미리, 서랑리
                  지천 등의 물들도 짧은 거리를 흐르다가 결국 오산천으로 유입된다. 이런 하천들의 물은 하천 연변인

                  곡간에 충적토양을 이루고 비옥한 농경지를 만들어 일찍부터 많은 촌락들이 들어서게 된 계기가 되
                  었다. 오산시의 총면적은 42.8㎢로 매우 작은 도시지만, 그중 논(27%)과 밭(15%), 대지(7%)가 전 면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