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2 - Interview Book(KOR)-2025-01
P. 122
공정한 선거 시스템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박용찬 후보는 지난 두 번의 선거에서
부정 선거로 인해 패배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최고위원 선거에서도 부정 선거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이러한 주장을 통해 보수층 내의
지지를 확보하고, 당내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려 하고 있습니다.
Grant Newsham:
부정 선거의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국힘당 내에서 어떤 변화가 예상되십니까?
민경욱:
부정 선거의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국힘당 내에서는 투명하고 공정한 선거 시스템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입니다. 이는 당내 정책 결정 과정에서도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거 관리 시스템의 개선, 투표 과정의 투명성 강화, 부정 선거를
방지하기 위한 법적 제재 강화 등이 논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당내의 보수층을 더욱 단결시키고, 부정 선거 문제에 대한 강력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Grant Newsham:
이러한 변화가 앞으로의 한국 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민경욱:
앞으로의 한국 정치에서는 선거의 투명성과 공정성이 더욱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것입니다. 국힘당 내에서의 변화는 보수층 전체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며, 이는 국가 전반의 정치적 안정성과 민주주의의 강화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부정 선거 문제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대응은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과 정치적 투명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Grant Newsham:
지금까지 말씀해 주신 내용들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담고 있습니다. 앞으로 부정 선거의
진상을 규명하고, 공정한 선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어떤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계획이신가요?
민경욱:
우선, 저는 부정 선거의 증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립적인 조사
기관을 설립할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전 투표 관리 시스템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투표 용지에 관리관의 도장이 찍히도록 법적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전 투표의 부정 행위를 방지하고, 선거의 공정성을 보장하려고 합니다.
추가적으로, 저는 국제적인 지원을 받아 한국 선거 시스템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제 사회의 신뢰를 회복하고, 한국의 민주주의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합니다.
Grant Newsham:
국제적인 협력에 대해 다시 한번 말씀해 주실 수 있습니까?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