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전시가이드 2023년 08월 이북
P. 34
김재덕 컬럼
Space & Image 116.7x80.3cm mixed Medai
최소주의(最小主意)의 수채조형 니멀리즘은 예술적 기교와 각색, 편집을 최소화하고 오브제(Object)의 근원,
수채화가 이 영 옥 근본, 기초, 사상 등을 현실의 표현방식에 따라 구현된 형상과 최대한 밀접하
게 연결하여 주었을 때 진정한 리얼리티가 완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회화 표
현에 있어서 그리는 것 자체를 최소화한다는 것은 시각적 전달의 장애를 가져
올 수 있는 부정적 요인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시각미술의 전달체계가 충족
글 : 김재덕(갤러리한 관장 칼럼니스트)
되지 못할 때 작가의 철학과 신념, 사상을 담기 어려우며 감상자들의 공감이
확장되지 못한 채 급진적인 합리화를 강요하게 되는 문제가 제기 될 수 있다.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전통미술은 이성(reason)을 기초로 하므로 정확하고 수채화가 이영옥은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를 존재 할 수 있게 하여 감상자들
구체적인 형상(形像)을 표현하여 왔다. 하지만 이런 구체성은 예술의 본질을 의 미적 감수성을 자극하여 준다. ‘최소한의 필요’ 한 부분을 화면에 축약하여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하고 그 형상의 이미지를 통해 감상자의 상상력을 통 표현함으로 작가는 이미지의 강렬함을 극대화 하여 시각적으로 다가오도록
제 하거나 저해하기도 한다. 그래서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것이 감상 유도 한다. 붓의 필선에 따라 나타나는 선과 면의 간결함으로 수채화가 가지
자들의 미적 감수성을 확장 시켜 주는데 더 바람직한 미술의 모습이라고 이 는 독특한 조형미의 장점을 이끌어 내어 준다. 수채화의 미적 감성을 공감 할
야기 할 수 있다. 미니멀리즘(minimalism)이란 전통적인 미술에서 벗어나 불 수 있는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는 최소한의 요소만으로 표현을 단순화시킴으
필요한 요소를 배제하고 본질에 충실한 최소한의 요소만을 남기는 방식을 채 로써 채료(彩料)의 물성에 따른 유희를 즐긴다. 회화가 가지는 여러 가지 요
택하는 미술 사조이다. 1960년대 제3차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모든 예술 장르 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표현의 기법들을 절제 하여 이미지 연출
(음악, 건축, 철학, 패션)는 다변화와 다양성을 가지게 된다. 그중 하나의 사조 을 최대한 단순화 하는 작업으로 천착활동을 하고 있다. 작가는 그런 미니멀
인 미니멀리즘은 최소한도, 최소, 극미 라는 뜻의 ‘미니멀(minimal)’을 지향한 (minimal)한 기능(Function)과 그 단순함을 통한 최적화된 시각 연출 등 작가
다. 하지만 단순히 작고 간소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부피가 커도 간 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 사물을 심플화(Simplelism) 시키는 독창적인 구
결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도 복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캔버스 또는 작가가 성을 통해 자신만의 미니멀리즘(minimalism)을 추구하는 수채화표현 방식
의도하는 사물의 미적 구성에 따라 그 최소한의 간결함이 달리 해석될 수 있 으로 감상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고 있다.
는 여지가 충분한 것이다. 시각예술(視覺藝術)중 회화(繪畵) 표현에 있어서 미
32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