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샘가2025. 9-10월
P. 10
누가복음
서인선 목사(성결대학교 신약학 교수, 시카고루터란신학대학원 Ph.D.)
저자
누가복음의 저자는 ‘의사 누가’라고 본다. 다른 복음서와 마찬가지로 누가복음 자체에
저자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아주 이른 초기 교회의 전승은 세 번째 복음서의 저자로 누
가를 지목한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한 저자의 두 작품이다(눅 1:1-4; 행 1:1-2). 사
도행전은 3인칭(행 16:6-9, 그들이)으로 말하다가 아무 설명 없이 1인칭 복수(16:10, 우
리가)로 전환하는 “우리-문절”에서 그 저자에 대하여 상당한 빛을 던져준다(행 16:10-
17; 20:5-15; 21:1-18; 27:1-28:16). ‘우리-문절’은 목격자로서 저자가 직접 여러 사건
에 동참했던 것을 나타낸다고 이해하는 것이 최선이다. 사도행전의 저자는 ‘우리-문절’
에 이름이 등장하는 사람이 될 수 없고, 바울이 로마에 가택연금 상태로 있을 때 쓴 옥중
서신에 거명되는 사람들 중 하나일 개연성이 농후하다. 이들 가운데 ‘의사 누가’가 세 번
째 복음서와 사도행전의 저자라고 최초로 언급한 이는 이레니우스(주후 180년경)이다.
누가는 바울의 전도 여행에 동행하였고(행 27:1-28:16), 그에게 의학적 돌봄을 제공하였
고(골 4:14), 그의 동역자였으며(몬 24), 또 끝까지 그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딤후
4:11).
배경 • 기록연대
누가복음의 배경은 수신자 혹은 최초의 독자를 통해서 짐작해 볼 수 있다. 누가복음은 데
오빌로(하나님의 친구)를 위하여 기록하였다고 말한다(눅 1:3; 행 1:1). 그 이름은 일반적
으로 ‘그리스도인 독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인물의 이름이라는 것이 가장 개
연성이 높다. ‘각하’라는 칭호는 고대 로마에서 원로원 계층 아래의 두 번째 사회적 계층
인 기사단의 일원을 의미하거나 단순한 경칭일 수 있다. 데오빌로는 예수의 말씀과 행위
에 관하여 얼마간 알게 되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는 확신, 즉 확실성이 필요했다. 따
라서 누가는 그에게 좀 더 정돈되고 믿음직한 이야기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누
가복음의 여러 내용은 한 개인보다는 그가 대표하는 더 폭넓은 공동체를 독자로 상정하
게 한다. 독자 가운데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들’(유대인의 유일신론과 도덕적 표준에
호감을 갖고 회당에 출석하는 이방인들)이 있었다. 누가는 복음서와 사도행전을 그리스
도인들, 특히 새 개종자들이 읽기를 기대하고 바랐다. 누가는 모든 자료를 모아서 그리스
도를 섬기는 일(목적, 계획, 혹은 사명)을 세계 도처에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
한 모든 문제들을 다룬다. 누가복음의 기록연대는 사도행전(주후 61-65년)보다 앞선 어
느 시점이라고 본다.
핵심성구
“예수께서 이르시되, 오늘 구원이 이 집에 이르렀으니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임이로
다 인자가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눅 19:9-10)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