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샘가2025.3-4
P. 63

이삭의 축복을 받은 야곱은 에서의 분노를 피해 밧단아람으로 떠납니다.

              이삭이 야곱을 불러 축복하고(1-5) 야곱을 향한 에서의 분노를 알아차린 리브가는 야
            곱을 피신시킬 계획을 세웁니다(27:43-45). 리브가는 가나안 여자들을 아내로 맞이
            한 에서에 대한 불만을 핑계로 야곱을 피신시킵니다. 리브가는 야곱이 가나안 땅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아내를 맞이하기 위해 집을 자연스럽게 떠날 수 있도록 이삭을
            유도한 것입니다(27:46). 이삭은 리브가의 제안대로 움직입니다. 그는 야곱을 불러
            가나안 땅에서 아내를 맞이하지 말고, 밧단아람으로 가서 외삼촌 라반의 딸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라고 권합니다. 이삭은 리브가와 야곱의 속임수에 속아 야곱을 축복
            했던 일 이후의 집안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또한 리브가의 의도대로
            움직이는 이삭의 모습은 그의 영적인 둔감함을 보여줍니다. 야곱을 보내면서 이삭
            이 야곱을 축복한 내용은 야곱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복의 상속자가 되
            었다는 것을 나타내 줍니다.


              에서가 본즉(6-9) 에서는 야곱이 이삭의 축복을 받고 떠난 상황을 보았습니다. 에서
            를 두려워해서 떠난 것이었지만, 겉으로는 밧단아람 지역의 여자를 아내로 구하기
            위해서 떠났습니다. 밧단아람으로 떠나는 야곱을 보면서 에서는 자신이 무엇을 실
            수했는지 깨달았습니다. 아내를 가나안 딸 중에서는 구하지 말고 먼 지역인 밧단아
            람에 가서 맞이하라는 것, 에서의 아내들은 부모를 기쁘게 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에서는 부모를 기쁘게 하기 위해 이스마엘의 딸을 아내로 맞이합니다. 목적은 좋았
            지만 방법은 어긋났습니다. 부모의 마음에 들고자 하는 그의 노력에 비해 결과는 좋
            지 않습니다. 여기서도 영적인 판단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에서의 한계가 드러납니
            다. 이삭과 이스마엘의 관계, 부모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행동하는 경솔함을 볼
            수 있습니다.


               영적인 둔감함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암시하는 위험과 의미를 깨닫지 못
            하는 무지함으로 나타납니다. 영적인 민감함으로 보이는 상황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개인적인 노력은 무엇입니까?










             어릴 땐 구멍 뚫린 양말, 물려받은 낡고 큰 교복이 부끄러움의 제목이었습니다. 나이를 먹고는 세상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에 주목하는 시간들이 쌓여가면서 나의 부끄러움과 창피함에 대한 시각이 조
             금은 달라진 것 같습니다. 나만의 몫과 장점을 망각하고 다른 이들을 함부로 비교하고 시기하는 것이 창
             피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갑작스럽게 닥친 고난 앞에서 방황하는 모습이 어리석은 모습이
             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성경에서 하나님의 꿈을 발견하고 하나님의 마음을 읽어내려고 애쓰지만
             하나님 앞에 부끄럽지 않게 사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절감하면서 “큰 산아 네가 무엇이냐 네가 스룹바벨
             앞에서 평지가 되리라”(슥 4:7)는 말씀으로 위로를 받습니다.
                                                                            61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