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메타코칭 문해력 독해력 어드밴스 20호
P. 38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어드밴스 20호
언어독해 - 문단 별 중요한 핵심구절에 밑줄치고 요약한다.
- 논리적인 흐름을 연결하고 전체적인 주제를 파악한다.
증기
그림 문자가 ‘의미’를 나타내는 것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뀌는 과정은
이집트의 문자를 예로 살펴볼 수 있다. 초기의 이집트 문자는 일정한 대상의 형태를 모방한
그림 문자였다. 그러나 이집트 문자는 점차 발전하면서, 의미가 아닌 소리의 기호로 바뀌기
시작했다.
이집트의 문자는 이렇게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에서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로 발전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로 전파된다. 현재 전세계의 문자 중 대부분이 이집트 문자에 기원을 두고
있다.
‘한자’가 표의 문자의 대표적인 형태라면, 우리의 ‘한글’이나 ‘영어’, 일본의 ‘가나’는
모두 표음 문자에 포함된다, 한자에서, ‘火’는 하나의 문자이며 ‘불’이라는 일정한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표음 문자인 한글에서 ‘ㅂ’이나 ‘ㅜ’, ‘ㄹ’과 같은 각각의 문자는 어떠한
의미도 갖고 있지 않다. 다만 이들이 결합하여 ‘불’이라는 단어를 형성할 때 비로소 의미를
갖게 된다. 영어는 불과 26개의 알파벳을 문자로 가지고 있지만, 이를 조합하여 무한개의
단어를 만들 수 있다. 표의 문자가 수없이 많은 문자를 필요로 하는데 비해, 표음 문자는
불과 수십 개의 문자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표음 문자가 발달하면서
비로소 사람들은 수없이 많은 문자의 형태와 그 문자가 지니는 복잡한 의미를 외우는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이다. 앞으로도 문자는 끊임없이 변화, 발전할 것이다.
(529자)
페이지 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