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메타코칭 공토 2025-04 챌린지 해설지
P. 36
메타코칭 인지훈련 챌린지 2025-04
- 바른 자세로 몰입하여 읽는다.
메타기억력 - 중심 단어 5개를 적고 내용을 줄거리로 만들어 본다.
전통 문화
문화란 넓게는 지식, 종교, 예술, 도덕 법률, 관습 등 사람이 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 만들어 낸
모든 것을 의미한다. 문화는 사람만이 가지고 있다. 동물들도 여러 가지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문화라고 하지는 않는다. 동물들의 생활 방식은 본능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문화는
본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어떤 목적이나 생활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 낸 것을 말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똑 같은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나라와 민족마다 서로 살아온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화적인 차이들이 있다. 우리 나라 역시 우리 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가 있다. 우리 민족이 만들어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문화를 우리의 전통
문화라고 한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서로 돕는 공동체 문화 속에 살아왔다. 농사일을 서로 돕는 것에서부터
나라가 어려울 때 의병을 일으키는 등 우리 민족은 ‘나’보다는 ‘우리’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세계 문화 유산으로 인정받은 종묘제례악이나 서민들이 즐기던 판소리, 민요, 농악 등은 우리
나라만의 음악이다. 봉산 탈춤, 하회 별신굿탈놀이와 같은 탈춤, 서예나 그림, 도자기 등의 미술품,
그리고 문학 작품 속에서도 우리 민족의 얼이 담겨 있다.
건축물이나 문화재에도 우리의 문화가 담겨 있다. 그래서 훌륭한 문화재는 국보나 보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설, 추석 등과 같은 명절과 각 시기마다 즐기던 세시 풍속, 그리고 우리의 전통적인 의식주
생활을 말한다. 우리 민족은 설날에 떡국을 먹고 웃어른께 세배를 드렸으며, 단오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씨름이나 그네뛰기를 즐겼다. 또 한복을 입고 초가집이나 기와집을 짓고, 윗목과
아랫목이 있는 온돌에서 생활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645자)
페이지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