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메타코칭 문해력 독해력 19호 챌린지 해설지
P. 30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챌린지 19호 해설지



                                  - 문단 별 핵심어와 연결되는 중요한 구절에 밑줄을 긋는다.
                  탐구독해            - 핵심어에 동그라미를 치고 핵심내용을 단어나 구절로 요약한다.

                  중부지방의  지형  특색




                     1 삼정의  문란과  탐관오리의  착취로  농민들의  살림살이는  매우  궁핍해졌다.  가난에  시달리고

               빚에  몰린  많은  농민들은  고향을  버리고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유랑민이  되었다.  그들은  산간
               벽지로  들어가  화전민이  되거나,  국경을  넘어  간도나  연해주로  이주하였다.  또,  도시나  광산촌,

               수공업촌으로 흘러 들어가 품을 팔아 생계를 꾸려 나가는 사람도 많았다.

                   2 농민의 고통은 잇단 자연 재해로 더욱 심해졌다. 헌종, 철종 때에는 거듭 흉년이 들고 전염병이

               돌아  농촌  사회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농촌을  떠나는  사람은  계속  늘어났고,  떠난
               사람들이  부담해야  할  세금은  친척이나  이웃  사람들의  몫이  되었다.  따라서,  농민의  부담은  더욱

               무거워졌으며, 농촌 사회는 날이 갈수록 어려워졌다.

                  3 농촌  사회가  어려워지면서  농민들은  점차  자신들의  불만을  밖으로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농민들의 불만은 처음에는 탐관오리를 비방하는 소극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관리의 부정을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 퍼뜨리거나, 벽보를 붙여 부패한 관리들에게 경고를 주는 등의 방법을 썼다.

                  4  그러나 사정이 개선되지 않자, 농민들은 세금 납부를 거부하거나, 집단적으로 항의 시위를 하고,

               수령에게  모욕을  주는  등  좀더  적극적이고  과격한  방법을  동원하였다.  나아가,  관아를  습격하거나

               탐관오리를  폭행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  또,  일부  농민들은  도적의  무리에  가담하기도  하여  사회
               불안이  심해졌다.  이에  나라에서는  암행어사를  파견하여  정치  기강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577자)



























                                                                                                 페이지 30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