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134
동북포루 복원정비공사 보고서
〔사진2-110〕 지붕에서 발견된 종류별 숫막새와 수키와
〔사진2-111〕 봉황문 〔사진2-112〕 옴자문 〔사진2-113〕 봉황문2 〔사진2-114〕 봉황문3
숫막새의 문양을 살펴보면 총 4가지의 문양이 발견되었다. 3종류의 봉황문이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하나
는 불교에서 사용되는 옴자문 문양이다. 문양을 살펴보는 것은 그 시대의 정신과 건축물의 성격, 위계를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창호의 수면단청 시공 편에서 좀 더 설명하겠
다.
봉황문은 2-111번의 사진과 같은 문양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봉황문이지만 도식화 되어있고 흡사 포도
송이처럼 보이기도 하다. 재질이 투박하고 문양은 양각이 큼직하고 주변이 두툼하며 거칠다.
수량 조사 시 2-112 옴자문 숫막새는 2장 발견되었다. 옴자문은 불교 건축물, 그리고 막새를 사용할 정
도의 격이 있는 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단 2장만 발견된 것은 이유를 알 수 없지만 궁궐의 건축에 불교
건축물에 사용된 건축자재가 사용된 것은 그리 흔한 것은 아니다. 지붕 고르기 하던 중 교체 수량이 적
어 시공사가 다른 공사현장의 막새를 가져와 시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와의 재질 등을 다른 기와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시기적으로 4개의 기와 중 2번째로 오래된 것으로 보여 진다.
2-113번 봉황문은 1장 발견되었다. 첫 번째 봉황문에 비하여 가장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익숙한 문
양으로 도식되었다. 표면 양각이 얇고 부드럽다.
2-114번의 봉황문은 총 23장 정도의 막새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가장 최근에 교체된 막새로 보여 진
다. 양각이 뾰족뾰족하게 튀어나와있고 표면이 매우 단단하고 매끄럽고 무게는 무겁다. 기와제조 공법에
따라 재질이나 문양도 시대흐름에 따라 달라지는데 문양이 날카롭다는 느낌이 우세하다. 32번은 다수의
수량인 기본 기와라 할 수 있고 나머지는 모두 교체 기와라 할 수 있다. 기와 상태가 양호한 샘플을 골
라 실측하였다.
- 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