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동북포루 수리보고서-2020.최종
P. 38

동북포루 복원정비보고서



               Ÿ  선자는 마족연을 사용하고 장연의 숫자는 가능하면 의궤기록과 같이 42개로 맞출 필요가 있음.

               Ÿ  창호는 도설에서는 판문, 실입에서는 당판문으로 표기 하였으므로 출입문은 우리판문(당판문)으로 하
                  고 좌우와 배면은 전안이 있는 전붕판문으로 함이 타당함.
               Ÿ  설계내용이 『화성성역의궤』의 기록을 잘 반영한 것으로 판단됨.
               Ÿ  다만 전면 계단의 벽돌쌓기방식에 대하여 적절한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Ÿ  당판문의 전안 위치에 대하여 적절한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Ÿ  창호의 재료는 뒤틀림이 없는 가벼운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됨.
               Ÿ  시공 시 가능하면 수제기와를 사용할 것을 권유함.
               Ÿ  벽돌계단의 경우 시공 시 줄눈이 너무 두껍게 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함.
               Ÿ  판문의 수면(짐승 얼굴)의 도안은 『화성성역의궤』의 도설편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으며, 전안의 위치
                  도 적절히 배정한 것으로 판단됨.

               Ÿ  각건대라는 건물  명칭,  의궤의 부재 치수를 고려할 때  처마 내밀기는 전후와 좌우가 다른  건물임이
                  확인됨.
               Ÿ  용두는 의궤 실입편과 같이 2개 설치함.
               Ÿ  창호는 전면 좌우 협칸도 2짝 당판문으로 하고 좌우와 배면은 울거미가 있는 당판문으로 하되 접이
                  문으로 하는 것이 소요재료로 판단했을 때 합당함.

               Ÿ  단청은 『뎡리의궤』와 『화성성역의궤』에 따라 가칠 단청으로 함.
               Ÿ  전안 폐판은 형태가 고증되지 않았으므로 차후에 설치함.
               Ÿ  창호 재료는 당판을 얇게 하고 육송으로 함.
               Ÿ  계단은 소방전을 기준으로 하여 기울기는 이에 따른다.


               복원설계당시 문헌조사 분석결과 동북포루 현존  디딤석은 화강석 장대석을 쌓아  4단의  계단을 설치  하

               였으나,  화성성역의궤  하권,  재용편  133p에는  디딤석을  표현한  부분이  없고,  상권  119p에  서술한  내용
               중에 ‘ 내면에 벽제를 설치하여 오르내리게 하였다’ 라는 부분을 볼 때 이는 벽돌을 쌓아 계단을 설치
               한  것으로  판단된다.  『뎡리의궤』  채색본에  표현된  그림에도  계단부의  표현이  『화성성역의궤』의  도
               설보다는 확연하게 전돌 여장을 표현한 방법과 같은 전벽돌로 표현되어있어 구분이 쉽다.



               내측의  출입문도  널문이  아닌  판문이며,  문의  좌우측의  벽체도  회벽이  아닌  판벽으로  현존의  동북포루
               와  다르게  표현되어있다.  또한  3면에  설치된  창호  부분에  그려진  문양도  정리의궤  채색본과는  다르게
               표현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창호의 짝수도  화성성역의궤 하권  재용편 134p 에는  당판문 28짝  이라  되
               어있는데 이는 좌 우 배면 쪽 8짝씩 24짝과 전면쪽 2짝, 그리고 전면 문 좌, 우의 판벽을 2쪽을 포함하
               여 총 28짝을 의미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으로 현존하는 동북포루의 문짝수와는 상이한 부분이 있

               다. 창호 철물은 작은 가막쇠양배구 26개, 중돌쩌귀 56부, 작은사슬원형배구 28부, 자물쇠, 열쇠 1부, 작
               은고리 7부로 문짝수를 변경하면 철물의 수가 정확하게 맞는다.
               단청은  기존은  모로단청으로  되어있으나  삼토단청으로  표현되어있으며,  의궤  기록에  있는  물량으로  가
               칠단청임을 알 수 있다.








               -  38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