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 조현애작품세계
P. 54

그야말로 “이 서걱거리는 조합은 뭔가.” 라고 느껴질 만 부분이 바로 그것이다. 나는
        작가에게 좀 더 형이상학적이고 긴밀한 관계의 오브제들을 권유 한다.  마치 시인 존
        던이 사랑을 서로 상대적인 관계를 가진 컴퍼스에 비유 한 것처럼 긴밀한 연결을 가
        진 상관관계성의 문제이다.
        The reason why the females appearing on the beauty paintings are frequently
        invited to go on this stage developed with the title, ‘Unknown Time’ is that
        the heroine is a pronoun of females appearing on the past pictures, who
        are most famous and strongest, but there may be no other separate reason.
        More specifically, she is just a figure symbolic for the past time.
        It is a part that may be felt as ‘what is crunching combination.’ I recommend
        more metaphysical and close relationship-based objects to the author. It is
        the issue of a correlation with a close connection, as poet Jone Donne com-
        pares love to a compass with a relative mutual relation.
        한복에 올림머리를 한 여인이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그 주변에는 갈대밭 ,시계, 때
        로는 자전거가 보이고 , 구름이 떠 있는 하늘에 거꾸로 선 집이 떠 있기도 하다. 이
        시간의 부조화 장면들을 오히려 그녀는 시간 앞에서 즐기고 있다. 그렇다면 이 그
        림들이 우리들에게 특별한 느낌을 주는 이유는 무엇까? 그것은 작가가 이야기하는
        화면과 공간구성의 복합적인 구성 때문이다. 공간을 분할하는 벽면 그 공간을 구별
        짓는 컬러의 차별성 그리고 화면을 배려하는 기본적인 원근법에서 이 컴포지션은
        빛을 발한다.
        Females with roll-up hair in Korean clothes commonly appear. Fields of reeds,
        clocks and sometimes bicycles are shown around them, and flipped houses
        float in the sky with clouds. She rather enjoys such inharmonious scenes of
        time, before the time. Why do these pictures give a special feel to us? Such a
        feel may be caused by scenes and complex spatial composition provided by
        the author. This composition is highlighted in terms of walls dividing spaces,
        differentiated  colors  distinguishing  them  and  the  basic  perspective  giving
        consideration to scenes.

        거리감을 충분히 느끼게 하는 모노톤의 벽면과 공간들 사이로 새롭게 현실적인 공
        간을 암시하는 모던한 여성의 이미지들이 미완인 듯 편집되어 자리 잡고 있는 것 등
        은 분명 신선하다. 즉 이것은 현실과 상상,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펼쳐지는 다양한
        그녀의 시간을 이야기하는 절묘한 스킬이다. 이 작품들 속에는 그녀와 그녀 자신의
        흔적들과 기억들이 모여 하나의 퍼즐처럼 단층을 이루고 있다. 그녀를 에워싸고 있
        는 기억 속의 풍요로운 세계, 점차 사라져가는 찰나들을 어떻게 붙잡을 수 있을까.
        그녀는 이 물음에 대한 진지한 답변을 하고 계속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그녀의 그
        림인 것이다. 가장 효과적인 전달법 ? 이러한 고민은 모든 현대 예술가들이 수세기
        에 걸쳐 오랫동안 고뇌한 화가들의 야망이기도 하다.
        The incompletely edited images of modern females, which newly imply actual
        space between the wall with monotone fully evoking a sense of distance and
        space are certainly fresh. This is thus her exquisite skill to talk about her vari-
        ous times across reality and imagination, time and space. In these works, Cho
        Hyunae and her trance and memories are gathered to form a monolayer like
        a puzzle. How can she capture a rich world and gradually disappearing mo-
        ments in memories surrounding her? She has continuously given sincerezan-
        swers to this question. The solutions are her pictures. What is the most ef-
        fective delivery? Such a concern is also the ambition of painters, which all of
        54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