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조현애작품세계
P. 55

modern artists have deeply reflected over the centuries.

                     이러한 회화의 위대한 전통은 자유로운 표현방식 속에서 의미와 전달 ,새로움이라
                     는 언어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죠셉 코주스가 의자의 진정한 본질을 어디서 찾아낼
                     수 있는지 물으면서 사물을 보는 방법이나 시각 등을 제시 한 것처럼 ,조현애는 잊
                     혀진 기억의 환영을 현대적 인물들을 드로잉하여 호출하며 색면으로 분류하고, 과
                     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의 시공간을 구축 한다.
                     Such a great tradition of paintings has been developed into linguistic prac-
                     tices of meaning, delivery and freshness through free expression methods.
                     Cho Hyunae calls out the illusions of forgotten memories by drawing modern
                     figures and categorizes them into color fields, and establishes the time and
                     space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s Joseph Kosuth suggested a
                     method or a sense of sight with which objects can be seen, by asking where
                     we can find out the true essence of a chair.

                     그녀 역시도 이러한 초현실적인 회화의 전통적인 어법을 따르고 있다. 작가는 마치
                     하늘 위에 두둥실 떠있는 한 무더기 뭉게구름처럼 여인이 공간속을 떠다니며 거니
                     도록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 작가와 우리는 시간은 결코 보이는 것이 아
                     닌 “Time is nothing but change”  “시간은 변화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라는 사
                     실을 그림을 통해 증명하고 있다. 결국 시간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느낄 수 없고 손
                     으로 만질 수도 없다. 다만 조현애에 의해서 우리는 그 시간을 볼 수 있다고 믿고 신
                     뢰하는 것이다. 이 함축적인 시간의 표현법이 우리가 보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그
                     녀가 제시한 매혹적인 형태 들이다. 우리는 그녀가 꿈꾸는 시간이라는 여인과 공간
                     이라는 화폭과 마주하면서 시간은 순탄히 흐르는 강물과 같은 것이라는 것을 새삼
                     인정하게 된다.
                     She also follows the traditional mode of expression used by such surrealistic
                     paintings. The author lets females float and stroll in space, like a group of
                     cumuli floating gently in the sky. The author and we, therefore, prove the
                     fact that time is not visible, and it is nothing but change, based on the pic-
                     tures. Hence, time definitely exists but cannot be felt and touched by hands,
                     though Cho Hyunae makes us believe that we can see the time. This method
                     to express implicit time is fascinating forms for time and space seen by us,
                     which provided by her. We freshly recognize that time is like the smoothly
                     flowing river, as we face the female, the time of which she dreams and the
                     picture, the space.

                     동시에 전혀 다른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던 사물들이 그누구에게 이끌려 나오면 그
                     것이 시간으로 변모한다는 사실도 떠올린다. 그래서 예이츠가 “시인은 (뿐만 아니라
                     화가들까지도 )허가 받지 않은 입법자“라 명명했었을 것이다. 나는 조현애의 공간이
                     현실의 공간이 아닌 시간의 공간을 넘어 , 생각하게 하는 그림을 그리려 평생 노력
                     했던 르네 마그리트가 추구했던 초현실적 공간으로 활짝 꽃피길 기대한다.
                     In the same time, it also reminds us of the fact that objects existing in differ-
                     ent time and space are transformed into time, if they are drawn to him. Yeats,
                     therefore, named ‘poets (but also even artists)’ as unauthorized legislators.
                     I expect that Cho Hyunae’s space will be fully bloomed into surrealistic space
                     pursued by Rene Magritte who made effort to draw paintings stimulating our
                     thoughts, beyond temporal space, not real space.


                                                                           55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