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6 - 조현애작품세계
P. 86
고 불연속적인 시간의 힘에 따른 것이자 자신이 다루는 시간이란 주제를 효과적으
로 가시화하려는 여러 시도에서 출현한다.
They are things that hang on the different times which cannot be stitched
into a single one, so the author summons many images or uses a hetero-
geneous methodology. Realistic descriptions and simply treated parts, re-
productive phenomena and geometric patterns,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nd line drawing-centered Oriental painting methodologies, pictures and
objects(neon), virtual and actual light, etc. coexist. This is driven by the power
of irregular and discontinuous time and emerges from many attempts to ef-
fectively visualize time, the theme, with which she deals.
나로서는 커다란 꽃 잎 하나가 화면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누워있거나 수직으로 상
승하는 그림이 좋다. 덧없이 떨어진, 몸체에서 순간 분리되어 허공 속으로 사라지기
직전의 꽃잎은 시간에 종속된 존재의 은유 및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 그 꽃은 절
정의 순간에 황홀하게 안기고 있지만 이내 소멸과 부재의 시간으로 떨어지는 중이
다. 부드럽고 흐릿한 색채와 하염없이 그 존재를 애무하는 듯한 붓질의 탄성에 의한
질감 처리가 주목된다. 그것은 마치 은밀하게 꽃잎의 살, 그 질감을 편애하는 부드
러운 시선이고 그것을 촉각적으로 더듬은 눈이다. 또한 시간의 경과를 경험하게 하
고 잔인한 시간의 행적을 목도시킨다. 그리고 그 시간이 주는 상처를 예민하게 받아
들이는 한 존재의 찰나적인 느낌도 슬쩍 고여 있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이미 이 커
다란 꽃잎 하나만으로도 그림은 어느 정도 충분해 보인다. 주변에 배치된 오브제와
같은 이미지들의 감각적 구성이 그와 함께 하고 있다. 그림은 특정 주제를 너무 뻔
하게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화살표나 특정 방향을 겨냥하는 화살표나 손가락과도
같은 게 아니라 한 개인이 벼락처럼 경험한 시간에 대한 느낌, 그 농밀한 감각을 사
건화 하는 이어야 한다. 소재나 표현의 방법론 자체가 스스로 발화되어야 하는 것이
그림이다. 주제가 대신하는 게 아니라 표면 자체가 그대로 밀고 나와 보는 이의 망
막에, 몸에 달라붙어야 한다.
I like the picture on which a large petal lies across the center of the scene
or rises vertically. The petal which is separated from its trunk and will soon
disappear into air exhibits the metaphor of being depending on time and the
flow of time. Although the petal ecstatically goes into arms of the moment of
climax, it right away falls into the time of extinction and absence. Smooth and
dim colors and the texture treated by the elasticity of strokes ceaselessly ca-
ressing the being are highlighted. It is like a gentle gaze secretly favoring the
flesh, the texture, of the petal and eyes touching it through the tactile sense.
In addition, it makes us experience the lapse of time and directly observe the
record of cruel time. An instant feeling of the being acutely accepting wound
caused by time is thought to be slightly accumulated. Such a large petal,
therefore, seems to be somewhat enough for completing the picture. It is
accompanied with the sensible composition of images like objects arranged
near it. The picture does not too obviously indicate a certain theme. It is not
the same as an arrow or a finger indicating a certain direction, but should
make the feeling about the time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as a thunder-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