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2025년 03 월 13 일 온라인 매일신보
P. 19

매일신보
                                                                                                                                    2025.03.13<목>
            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
            득세)이 추진된다.

            정부안대로 상속세 및 증
            여세법이 개정되면 ‘N분의

            1’ 과세로 과세표준(과표)
            이 내려가 세 부담이 줄어

            들게 된다. 상속세 인적 공

            제와 배우자 공제도 개편
            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 상
            속세를 내야 하지만, 2028

            년부터는 20억원까진 상
            속세가 면제될 것으로 보                     매기는 24개국 중 유산세                   기본공제를 도입하기로 했

            인다.                               방식을 채택한 나라는 한                    다. 자녀가 많을수록 공제
            기획재정부는 12일 이런                     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혜택이 늘어나는 구조다

            내용의 ‘유산취득세 도입                     덴마크 등 4개국뿐이다.                    유산취득세 도입에 공제

            방안’을 발표했다.                        세금이 부과되는 상속액                     확대 효과가 더해져 고액
            지금까지는 상속재산 전체                     규모를 줄여 주는 공제 제                   자산가의 세 부담도 줄어

            에 부과한 세금을 상속인                     도도 세금을 더 깎아 주는                   든다
            별로 나눠 내는 유산세 방                    방향으로 바뀐다.                        과세 방식 개편에 따른 중

            식이 적용됐다.                          현행 상속세 공제는 기초                    산층 세 부담이 합리화되

            유산취득세로 전환되면 세                     공제(2억원)와 자녀공제(1                  는 측면도 있지만 ‘부자 감
            금이 줄어든다. 상속세율                     인당 5000만원)를 아우르                  세’ 논란은 피하기 어려울

            체계가 상속재산 규모가                      는 인적공제와 일괄공제(5                   전망이다. ‘부의 대물림 방
            클수록 높아지는 누진 구                     억원) 중 혜택이 큰 것을                   지’를 위해 도입된 상속세

            조이기 때문이다. 30억원                    선택하게 돼 있다. 여기에                   취지가 훼손될 우려도 있

            을 3명이 10억원씩 물려                    배우자 공제(5억~30억원)                  다. 현행 유산세 방식은 상
            받을 때, 물려주는 30억원                   가 추가된다. 상속세 대상                   속재산 전체에 누진세율을

            은 세율 40% 구간에 있지                   자들은 대부분 일괄공제를                    적용하기 때문에 자산 규
            만, 물려받는 10억원은 세                   택해 왔다.                           모가 클수록 세금이 많아

            율 30% 구간에 있다는 점                   이에 따라 정부는 29년째                   진다. 하지만 유산취득세
            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                   유지돼 온 일괄공제를 폐                    는 상속인별 과세여서 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지하고 유산취득세 방식에                    려주는 재산은 같아도 상

            회원국 가운데 상속세를                      부합하는 1인당 5억원의                    속인이 많을수록 세 부담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