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2025년 11 월 06일 온라인 매일신보
P. 20
매일신보
2025.11.06<목>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지난해 7월(2.6%) 이후 1년 3개
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
과
월(1.9%) 8월(1.7%)을 제외하
고 2% 초반대를 기록했는데
지난달에 오름폭이 확대됐다.
한편 한국은행은 향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연말과 내년 초
별도의 정보 입력이나 사진 촬 -잦은 비로 농산물 출하 에 2% 내외로 안정될 것으로
영 없이 1분 이내 인증이 마무 늦어지며 예상했다.
리 되 며 , 면허 승인이 완료되면 쌀·사과 21%·돼지고기 6%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물
알림톡으로 결과가 안내된다. 가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지난
“지난 9월 말 모바일 운전면허 급 등 해보다 낮아진 유가 수준, 여
인증 기능 배포 이후 면허 등 - 연휴로 개인서비스 행 서비스 가격 둔화 전망 등
올
록 관련 문의가 53% 감소하는 3.6% 라 을 고려했을 때 상승률은 점차
등 서비스 개선 효과가 뚜렷하 - 정부 "소비쿠폰 특별한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 나타나고 있다”며 “현재 지 영향 없어"
원 중인 정부 모바일 신분증 - 한은 "연말·연초 2% 외 서울경제 배상윤 기자
내
외에도 민간 앱을 통한 모바일
운전면허증 인증까지 연동을 로 안정"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
서울경제 양지혜 기자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
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
한국 최장연휴·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뛰고
고환율이 밀어올린 긴 추석 연휴에 여행 수요가
물가·15개월만에 급증하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
올 렸 다 . 특히 이례적인 잦은
최 고
비로 출하가 지연돼 쌀·사과
등 농산물 가격도 크게 들썩였
10월 물가 2.4% 상 승 다.
휘발유값 뛰며 석유류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
4.8% 충 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