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2020 권인숙의정보고서
P. 18

:: 권인숙의 의정키워드



          #대학_내_권력형_성범죄






                      2020.08.14 (인터뷰 발췌)
            대학 내 권력형 성폭력'에 맞서는 사람들 "누가 눈 감아줬는지 봐야


             Q. 이번에는 법안이 통과될 수 있을까. '대학 내 성
             폭력' 문제를 바라보는 국회의 인식은 어떠한가.
             많은 의원들이 이 문제에 공감하지만, 구체적인
             안을 통해 내실화하려는 노력에는 힘을 많이 써오
             지 못한 게 사실이다. 문제의식의 수준이 올라와
             있는 만큼, (많은 의원들이) 문제 해결에 참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국회 교육위에서도 교육부에 성
             폭력 문제에 대한 '직권조사 강화' 등을 촉구했다.
             Q. 성비위 교수를 제대로 처벌하려면 어떤 제도
             적 개선이 필요할까.
             교원에 대한 징계 유형이 정직·해임·파면으로 유
             형화돼 있어, 해임이나 파면에 이르지 않는 사안으              해당 대학으로 사건을 다시 이첩했다. 해결은커녕
             로 판단됐을 때엔 정직 3개월에 그치는 경우가 있              2차 피해의 위험만 커지는 것이다. 대학의 자율성
             다. 정직 기간을 늘리는 등 징계 수위를 세분화할              을 고려해도 교육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서 각
             필요가 있다. 학생이 피해자인 경우, 징계위에 학              대학의 성폭력 대응체계를 감독하고, 성폭력 예방
             생 및 외부위원이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대학본부              교육, 성평등·성인지 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
             는 철저한 조사, 피해자 보호, 가해자에 대한 합당
             한 처벌을 해야 한다.                             Q. 대학 내 권력형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추가
                                                      로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 있는지.
             Q. 대학 내 성폭력을 관리·감독해야 할 교육부의              교원징계위와 마찬가지로, 교원소청심사위에서
             현재 대응에는 어떤 문제가 있다고 보나.                   도 학생이 피해자인 사안일 경우 피해자를 대변
             교육부는 대학 내 성폭력 문제에 사실상 미온적으               할 수 있는 학생이나 외부위원이 진행 과정에 참
             로 대처해왔다. 교육부 '성폭력 신고센터'에 신고·             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원지위법 등 관련
             접수된 사안들을 살펴보니, 교육부가 직권조사를                법률들을 검토하고 있다.
             나간 것은 지금까지 단 '1건'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최초의 미투고발자 권인숙,
             권력형 성범죄 피해자들과 연대하다 ②


          서울대학교의 ‘신 교수 조교 성희롱 사건’이 세상에 알려졌던 1993년으로부터 27년이 흘렀다. 여전히 대학 사회에서 권력형 성
          희롱·성폭력은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다. 2018년 ‘미투 운동’이 대한민국 사회에서 불길처럼 퍼져나갈 때, 대학도 예외는 아
          니었다. 대학은 폐쇄적인 위계로 인해 권력형 성범죄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다. 학생들은 여전히 가해 교수에 대한 솜방망이
          징계, 부실한 인권센터 등 제도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이에 권인숙의원은 ‘대학 내 인권보호법’을 발의하고, 국정감사에
          서 서울대 인권센터가 교수와 학교측을 비호하고 피해학생을 외면하는 행태를 비판했다. 나아가 전문가와 학생, 정부관계자가
          참여하는 <대학내 권력형 성범죄 근절 토론회>를 개최해 근본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


    16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