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2 - 오산문화총서 3집
P. 102

② 重修記(도판 3)
                        …(전략)…성의 남쪽에 옛날에 루가 있어 “진남”이라 하였고, 성을 쌓은 전말과 루를 일으킨

                      시종을 월사 이상국의 기문에서 다 기록하였다. 루에 올라 조망하는 경치와 공제하는 형편의 방
                      도 또한 모두 갖추어 기록하였다.…(중략)…대들보 위의 필적으로 보건대 루는 기해년(선조 32,
                      1599)에 창건하였고, 병진년(효종 10, 1659)에 중수…(후략)…



                        ③ 禿城重修記(도판 4)
                        …(전략)…그 루를 “진남”이라 하는데 이곳이 관사의 정당이다.…(후략)…



                        『華城志』의 기록을 보면 진남루의 건립 및 중수 연도, 위치, 규모, 용도, 주변 경관에 대해 비

                      교적 상세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먼저 건립연도에 대해서 살펴보면 중수기에 진남루가 1599년
                      (선조 32)에 창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華城志』 ②) 진남루 및 성의 전말에 대해 기록한 이
                      정구의 기문은 1603년(선조 36)에 작성되어(『華城志』 ①) 중수기에 기록된 창건연도와 기문의

                      작성연도 간에 4년의 차이가 확인된다. 이러한 차이는 진남루를 건립한 부사 변응성이 1602년
                                                                                 8)
                      (선조 35)에 실시한 독산성의 축성 및 관청건물 건립 등 대대적인 보수 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기문의 작성연도가 보수 이후인 1603년인 것으로 볼 때 이정구의 기문은 보수가
                      모두 완료되고 작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진남루는 1599년에 건립되었으나 기문이 1602년에 실시된 보수 이후에 작성되면서

                      건립연도와 기문작성 연도 사이의 시간 차이가 생긴 것으로 판단된다. 진남루는 1753년(영조
                      29)과 1790년(정조 14)에 각각 중수 및 개건이 이루어졌는데(『華城志』 ①), 1790년의 개건은 정
                      조의 특교로 실시되었는데, 아마 같은 해 2월 정조의 독산성 방문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8) 『華城志』 山城 禿城
                        …(전략)…壬寅 上命 本府府使 邊應星 築城 仍建 廨宇…(후략)…



                      100  이용범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