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오산문화총서 3집
P. 97

Ⅰ. 머리말





                         최근 오산시에서는 독산성의 역사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 문화재의 보존 및 교육 차원에
                       서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여 『독산성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성곽 내외부 수목

                       제거 및 정비, 탐방로 정비 실시설계, 안내판 정비 등을 실시하였고 특히 독산성의 역사를 복원
                       하기 위한 학술조사(매장문화재조사)가 남문지 일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1)
                         현재 활발하게 진행중인 복원사업에는 문헌 에 기록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 및 6.25전쟁을
                       거치면서 파괴된 운주당, 아전청, 장교청, 군기고, 사창 등을 비롯한 100여칸의 관청건물과 보
                       적사 및 장대, 진남루, 문루 중 역사적으로 중요하거나 매장문화재 조사 결과 상태가 양호한 건
                                                  2)
                       물에 대한 복원이 계획 되어있다 . 이 중 독산성이 사도세자 및 정조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볼
                                           3)
                       때 이 들과 관련된 건물 인 운주당과 진남루가 복원의 우선순위가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
                                                                          4)
                       단되며 특히 진남루의 경우 별도의 복원 기본계획 수립 용역 까지 진행되어 있어 가장 우선적
                       으로 복원이 진행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독산성의 내부 건물복원은 몇 개의 난제를 갖고 있는데 화성성역의궤와 같은 설계도면

                       이나 당시의 기록화, 일제강점기의 사진자료와 같은 실물기록이 없고 문헌기록만 남아 있는 실
                                                                                             5)
                       정으로 정확한 위치와 형태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독산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여  유일한 고
                       증자료라고 할 수 있는 문헌기록에 대한 연구도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복원에 대한 연

                       구는『독산성 남문(진남루) 복원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보고서』가 유일하다. 그
                       러나 이 연구용역 보고서도 독산성과 진남루가 기록된 문헌기록만 정리하였을 뿐이고 면밀한
                       검토 없이 형태만 추론 하고 있으며 특히 복원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검토는 이




                       1) 『華城志』, 『水原郡邑誌』, 『水原府邑誌』.
                       2) 오산시, 2016,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종합정비계획』.
                       3) 朝鮮王朝實錄』正祖實錄
                         정조14년 2월 10일
                          駕詣禿城山城, 臨將臺, 至運籌堂,…(중략)…庚辰年溫幸時, 駕次運籌堂爲宿所, 臣等擧皆欣瞻羽旄矣.…(중략)…駐駕日, 親問疾
                         苦, 發倉穀以賜之, 臨鎭南樓射帿, 連獲四矢.…(후략)…
                       4) 오산시, 2014, 『독산성 남문(진남루) 복원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5) 정해득, 2009, 『正祖時代 顯隆園 造成과 水原 移邑 硏究』, 경기대학교 대학원.
                         심승구, 2012, 「임진왜란 중 독산성 전투와 그 역사적 의의」, 『한국학논총』37, 국민대학교한국학연구소.
                         김준혁, 2015, 「독산성의 역사와 군사문화적 의의」, 『오산 독산성 학술대회』, 오산시청.
                         이용범, 2016,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변천 -보수기록을 통하여-」, 『烏山學硏究(Ⅱ)』, 오산향토문화연구소.


                                                                          독산성 진남루 위치에 대한 재검토  95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