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오산시 역사문화 이야기
P. 50
왜군은 독산성 주위 3곳에 진을 치고 고립시킨 다음 공격하여 왔지만 권율은 매복
과 기습전을 펼치며 성문을 닫고 지켜나갔다. 지형적인 조건을 자세하게 살핀 적장
은 성안에는 물이 별로 없을 것이라 여기게 되었고, 부하에게 물 한 지게를 지어
산 위에 있는 권율에게 갖다주게 하였다. 사실 독산성엔 물이 부족하여 극심한 식
수난을 겪고 있었다.
권율은 즉시 성 아래의 적군이 잘 볼 수 있는 높은 곳에 올라가 흰 쌀을 말위로
쏟아붓게 하였다. 멀리서 그 광경을 본 적장의 눈에는 물이 넘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렇게 독산성에서 전의를 상실하고 있던 차에, 남부지방에서 모여든 의병들이 왜
군의 후방에서 포위망을 좁혀오자 조급해진 왜병들은 마침내 포위망을 풀고 한양으
로 퇴각하기에 이른다. 왜군은 5일간 독산성을 공격하다 실패하자 과천을 거쳐 한
양으로 퇴각하는데, 이때를 놓치지 않고 적의 퇴로를 기습하여 수많은 적병을 살상
하였는데 봉담면의 ‘삼천병마골전투’는 이때의 전승지인 것이다.
권율은 1593년 1월 중순까지 독산성에 머물다 행주산성으로 이동했다. 그 후 권
율은 1593년(선조 26년) 2월 12일 하루 만에 행주대첩에서도 이겨 서울을 다시 찾
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 독산성 전투가 밑받침이 되어 행주산성에서 하루
만에 왜적을 섬멸하게 된 것이다. 행주대첩은 이순신의 한산도대첩과 김시민의 진
주성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첩이라 불린다.
세마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선조가 권율의 세마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장군의 지휘소.
이 독산성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여 선조의 명령에 따라 장대가 건립됐고, 세마대
(洗馬臺)라 불리게 됐다. 몇 번의 중수를 거치고, 그 후 일제강점기 때 일인들의 파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