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오산문화 61호
P. 49

2016  VOL. 61  osan culture







                영·유아기는 타인에게 전적으로 의존된 생활을
                하게 된다. 먹는 거, 입는 거, 배설에 이르는 가장
                기본적인 것들조차 어머니가 없으며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어머니의 부재는 아이의 생존권과 직결
                되며, 이 때 아이는 어머니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
                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분리불안’이라고 하며, 아
                이가 충분히 사랑을 받는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처음에는 당황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안정을 찾고, 또 어머니가 돌아오면 뛰
                어가 안기는 등의 행동을 통해서 불안했던 마음                    다. 수업시간 내내 혼자 멍하게 있거나 수업 내내
                (분리불안)이 해소되며 믿음을 가지게 된다. 하지                  돌아다니면서 수업 진행에 지장을 주는 경우, 학

                만 어머니와의 관계가 불안한 경우 아이는 어머                    교에 가지 않겠다고 때를 쓰는 경우 등 그 경우
                니와 떨어진 내내 울면서 불안해하거나 반대경우                    는 다양하다. 실제 수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로 어머니의 부재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선생님과 부모의 지적을 받고 행동을 변화시키기
                다.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로 마찬가지로 내내 울                   위해 심리치료나 병원치료 등 다양한 노력을 기

                던 아이는 화를 내거나 거부하는 듯한 태도를 보                   울인다. 반대의 경우 즉 수업에 방해가 되지 않
                이고, 어머니의 부재에 관심이 없던 아이는 어머                   고 조용한 경우에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니가 돌아오든 말든 하던 놀이를 하며 논다. 대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아이가 가지고 있는 감정
                부분의 어머니는 아이가 울면서 내내 불안해하                     들은 비슷한 경우가 많다.

                는 경우 좀 더 적극적으로 달래거나 관심을 보이                   얼마 전 만난 두 아이가 있었다. 한 아이는 최근
                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주변에 관심이 많은 산만                   몇 달간 어머니나 동생을 때리는 등 폭력적인 성
                한 아이, 때로는 조용한 아이, 착한 아이로 받아                  향과 학업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 때문에
                들여지기 쉽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아이는 자                   어머니로 인해 억지로 온 아이였고, 두 번째 아

                신도 모르게 무기력을 배우고 자신의 감정을 표                    이는 진로를 정해야 하는데 스스로 무엇을 좋아
                현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산만한 경우든 조용한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부모님의
                경우든 마찬가지이다. 만 7세까지 어머니와 안정                   권유로 온 아이였다.
                적 관계를 맺지 못하면 아이는 다른 아이들에 비                   이렇게 행동패턴과 찾아온 이유가 완전히 다른

                해 높은 불안성향을 보인다.                              두 아이와의 만남을 거듭하면서 아이들의 부적
                학교를 다니기 시작하면 그전에 유아시설에 비해                    응 원인에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업시간이나 규칙, 공부 등에 대한 부담을 느껴                   수 있었다. 그것은 무기력과 분노였다. 첫 번째
                학기 초에 부적응한 모습을 보이는 아이들이 있                    아이는 항상 문제아로 낙인찍혀 학교나 가정 어


                                                                                                  47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