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9 - 제2권
P. 169

표 9. 영조대 수원부 장시 현황                                             169

                     번호                   『동국문헌비고』                               『도로고』                            역사
                      1           읍내장                 1·6               읍내장                 1·6                    /  유적
                      2           오타장                 1·6               오타장                 1·6
                      3           안중장                 1·6               안중장                 1·6                   · 유물
                      4           석현장                 2·7               석현장                 1·6
                      5           오산장                 3·8               오산장                 3·8

                      6           신기장                 4·9               신기장                 4·9
                      7           사슬곶장                4·9               사슬곶장                4·9
                      8           팔탄장                5·10               팔탄장                5·10






                    수원부 인근지역의 장시는 남양부의 2·7일장인 읍내장, 1·6일장인 구포장, 4·9일장인 기지장

                  이 있었고, 남쪽 가까이 진위현에는 2·7일장인 읍내장과 구거리장(九巨里場)이 개설되었다. 오산장
                  은 3·8일장으로 수원부 및 남양부, 그리고 진위의 향시들과 시장체계를 형성하며 인근지역의 장시
                  들과 유기적으로 운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당대 오산 사람들은 오산장[3일·8일] 이외에 가까운 거

                  리에 위치하고 있던 현재 화성의 진안동에 개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신기장[4일·9일], 동탄면 장

                  지리 일대에 개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석현장[2일·7일] 이용이 빈번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산장은 수원부 남쪽 40리 청호면에 있던 장시로 조선시대는 청호역이 위치하던 교통의 요지였
                  다. 오산장이라는 구체적 표현은 아니지만 지리지를 통해 그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헌종 5년(1839)

                  편찬된 『동국궐리지』 「화성궐리도」에 궐리사 남쪽에 표시되어 있는 시장과, 고종 9년(1872) 간행된

                  《수원부지도》의 청호면에 기록된 장(場)은 오산장을 기록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0. 청호 장시-《1872년 지방지도》, 〈수원부지도〉                그림 11. 시장-『동국궐리지』, 「화성궐리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