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6 - 제2권
P. 286

굴된 흑요석과 더불어 분포 양상 및 성격 파악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그림 2, 3).



































































                  그림 2. 경기지역의 구석기시대 흑요석 석기
      오산시사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한신고고학 발굴16년』 /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고덕국제화계획지구 택지개발사업(1단계

                  1공구)내 평택 여염리유적』 / 홍미영·김종헌, 2008, 『남양주 호평동 구석기유적』Ⅰ·Ⅱ, 기전문화재연구원

      제

      2
      권



    286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