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전시가이드 2022년 06월 이북용
P. 58
김경 개인전 | 6. 15 – 6. 20 박혜정 초대전 | 5. 3 – 6. 5
인사아트센터 | T.02-736-1020 김승희 개인전 | 6. 15 – 6. 20 창의문뜰갤러리 | T.02-391-0012
갤러리 라메르 1층 | T.02-730-5454
다양한 인형을 소재로 우리의 일상의 이야기를 연극적으로 구성해 관객과
소통하는 김승희 작가의 ‘인형의 외출’은 화사한 봄나들이를 나온 인형들의
외출이 관객과의 감성적 소통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작품이다.
人生을그리고 싶었다. 人生을 그림으로 우리들의 어린 시절의 추억이 고스란히
표현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는 않다. 그 담겨진 따뜻한 고향의 기억들을 형상화
회한의 눈물을 흘리고 있는 한 노파가 그 하고 이미지화 한 박혜정 작가의 작품세
려져 있는데, 이는 아마도 우리들 대부분 계는 잠시나마 타임머신을 타고 추억 속
의 미래의 모습 일 것이다. 에 머물수 있을 것이다.
김현호 개인전 | 5. 27 – 6. 19 조연수 초대전 | 6. 1 – 6. 30
인영갤러리 | T.02-722-8877 79page갤러리 | T.010-3220-7484
최지윤 초대전 | 6. 15 – 6. 27
갤러리 라메르 1층 | T.02-730-5454
흑백의 아크릴 물감으로 마티에르를 내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하나가 될 때 모든
어 대상을 옮기면 그림은 일종의 신체를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평온함과 위안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폭에 담아내는 것으로부터 평안과 자유를 얻을 수 있다.
가지게 된다. 그림 위에 묽은 카본 블랙 최지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보석으로 감싼 동물, 다양한 질감의 꽃잎 그 조연수 작가는 과거 열대지방에 거주하
의 물감을 도포하면 정지된 이미지는 다 리고 화려한 색감을 통해 아픔과 슬픔, 염원 등의 다양한 감정을 표현한 작 며 느꼈던 희망과 축복을 마음속에 담고
시금 시간성을 가지게 된다. 품을 선보인다. 끊임없이 꿈꾸어본다. 환상을...
김남균 개인전 | 6. 22 – 7. 4 내 방의 창전 | 5. 18 – 6. 19
인영갤러리 | T.02-722-8877 KCDF윈도우갤러리 | T.02-732-9382
사람들의 기억은 너무나 명백한 사실들 ‘창’을 주제어로 설정하여 포스트 코로나
을 다루나 언제나 주관적이다. 이미지나 시대는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빈 곳을 채
영상처럼 기억된 그들의 기억은 어째서 우기 위해서 물건을 사는 것보다 자기를
인지 그 사진, 영상을 보기 전 이미 각인 나타내는 자아의 일부로 변화되는 모습
된 감정 속에서 읽힌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을 새롭게 주목한다.
이두리 초대전 | 6. 4 – 6. 25 고수형전 | 5. 10 – 6. 7 호주매씨가족의 한국소풍이야기전 | 4. 8 – 7. 8 강미현 개인전 | 6. 2 – 6. 22
잇다스페이스 | T.010-6890-3834 전남대학교 기획전시실 | T.010-9780-3532 주시드니한국문화원 | T.031-249-8903 KP갤러리 | T.02-706-6751
이두리에게 물고기는 신비의 영역이고 저항 예술의 가치 창출 가능성 범위 확 한국-호주 수교 60주년 해외 특별전 <호 세계에 존재하는 대상들의 실체를 바라
자신의 영혼을 깨치는 영물과도 같은 존 장을 위한 학제간 연구의 탈경계적 독립 주매씨가족의 한국소풍이야기>는 호주 보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닌 고정관념에
재다. 아시안아로와나 와의 만남은 그림 성을 유지하기 위해 Museum of Graffiti 선교사 매켄지 가족이 촬영한 한국 근현 서 벗어나 현상을 바라보고 '무아(無我)'
의 모티프가 되었으며 살아 있는 화석으 Art가 수행하는 위(僞 pseudo) 보존 과 대 사진 및 영상자료 300여 점을 주시드 의 지점에 다다라야 마침내 실체가 볼 수
로 불리는 신비한 고대 어종이다. 학의 형식을 취한다. 니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한다 있다는 "녹색" 시리즈를 소개한다.
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