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월간사진 2018년 12월호 Monthly Photography Dec 2018
P. 79

(138-141)포토샵클래스_ok_월간사진  2018-11-21  오후 6:13  페이지 141









                  Chapter 4           디테일 작업으로 마무리                    이전까지 합성 자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번 챕터에서는 퀄리티를 높이는 데 집중한다.

                                                                      세부적인 디테일을 하나하나 보정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크롭 & 잡티 제거

                                                                   모든 보정의 기본은 크롭에서 시작한다. 크롭 툴(    )을 이용해 프레임을 일부 잘라냄으로서, 사진
                                                                   을 안정적으로 만든다. 다음은 시선을 빼앗는 요소들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사용할 도구는 힐링 브
                                                                   러시 툴(    )과 클론 스탬프 툴(    )이다. 둘 모두 [Alt]를 누른 상태로 특정 부분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부분의 이미지를 복사하고, 이를 특정 부분에 붙여 넣음으로써 보기 싫은 요소들을 제거하는 툴이
                                                                   다. 힐링 브러시는 여기에 복사해온 질감을 원래의 톤 및 색과 자연스레 합성하는 기능이 더해졌다.
                                                                   BG 스마트오브젝트 위에 있는 모든 레이어의 눈(    )을 꺼서 보이지 않도록 만든다. 그리고 해당 스
                                                                   마트오브젝트 바로 위에 새로운 레이어를 만든다. 앞서 소개한 두 개의 툴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되,
                                                                   상단 옵션바의 Sample을 All Layers로 설정한다. BG에서 제거해야 할 요소는 강의실을 연상시키
                                                                   는 빔 프로젝터와 시선을 분산시키는 시계의 빨간 불빛, 그리고 직접 반사다. 제거를 마쳤다면 모든
                                  이미지를 일정 부분 크롭하여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만든다.
                                                                   레이어의 눈(    )을 다시 켜도 괜찮다. 이와 마찬가지로 MD 스마트오브젝트의 위에도 새로운 레이
                                                                   어를 만들어 각종 잡티들을 제거한다. 예제 사진의 경우, 피부를 보정했고 바이올린의 보기 싫은 반
                                                                   사 역시 제거했다.





                    시선을 분산시키는 BG 요소들을 제거한다.          피부 잡티를 보정했다.

                                                             톤 · 컬러 디테일 보정
                  Chapter 3에서 전체적인 톤과 색의 느낌을 조화롭게 만들었다면, 이번에는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차례다. 부
                  분 보정부터 시작한다. 이를 위해 ‘레이어 마스크를 응용하는 부분 보정기법’을 사용한다. 앞서 바닥에 조명효
                  과를 줄 때 소개한 바 있다. 먼저, 고급스러워 보이지 않는 색을 지닌 관객석 의자의 채도를 살짝 빼준다.
                  Hue/Saturation 레이어를 만들어서 BG 스마트오브젝트 위에 위치시킨다. Saturation 값을 -로 이동시키고
                  의자에만 효과가 적용되도록 만든다. 또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같은 방법으로 MD오브젝트의 바이올린
                  과 머리카락의 강한 채도 역시 낮춘다. 커브 레이어를 만들어 패널 가장 상단에 위치시키고, 바깥부분만 어둡
                  게 만들어줌으로써 비네팅 효과를 연출한다. 그럼 MD와 BG의 이질감이 조금 더 줄어든다. 기왕 비네팅을 만
                  들었으니, BG 스마트오브젝트 바닥의 중간 밝기를 더 올려 극적으로 만든다. 마지막으로 커브 레이어를 한 번
                  더 만들어 패널 최상단에 위치시킨 후 최종적으로 톤을 조절한다. 예제 사진의 경우 가장 밝은 밝기를 어둡게
                  만듦으로써 보다 로우키 사진처럼 보이도록 연출했다.
                                                                                      빨간색은 밝기를 낮출 부분, 초록색은 밝기를 올릴 부분, 파란색은 채도를 뺄 부분이다.

                   머리카락 한 번 더 다듬고 마무리

                  배경을 어둡게 만들고 나니 자연스러운 줄로 알았던 머리카락 부분의 합성이 엉성해 보인
                  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MD 스마트오브젝트 위에 새로운 커브 레이어를 위치시킨다. MD
                  에만 보정 효과가 적용되도록, 커브 레이어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후 Create Clipping
                  Mask를 선택한다. 그리고 커브 값의 가장 우측 점 즉, 가장 밝은 화이트 부분을 아래로 드
                  래그 해서 어둡게 만든다. 그러면 화이트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톤이 어두워진다. 이후, 커
                  브 레이어에 생성된 마스크 기능을 응용해서 머리카락 바깥의 엉성한 부분에만 효과가 적
                  용되도록 한다. 그 결과 머리카락의 경계가 한층 자연스러워진다.
                  이로써 모든 작업을 마무리했다. 물론 이 합성법이 만만하게 볼만큼 쉬운 작업은 아니다.
                  그러나 촬영 과정의 번거로움을 확연히 줄여주기 때문에, 실제 광고나 잡지 화보 촬영에
                  서도 종종 사용되는 기법이다. 색다른 화보 촬영을 원하거나, 모델과 스케줄 조율이 힘들
                  때, 로케이션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을 때. 이 기법에 도전해보기를 추천한다. 난이도가 높
                  게 느껴진다면, 도전만으로도 엄청난 포토샵 실력 향상을 체감할 수 있으리라!





                                           +               =



                                                                                                                 작업을 끝낸 최종 완성 이미지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