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3 - Choi wungsub Success story
P. 163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는  주제니까,  일종의  비즈니스선교의  교과서로  편집  방향을  잡는  거죠.  경
               험과  이론을 겸비한 똘똘한 책이  될  것  같은데요.”
               “그렇죠?  아무래도  하는  게  맞겠지요?  어떤  조건을  보든  이  책은  우리  신문사에서  하라는  뜻인
               것 같아요. 그럼, 우리 기도하면서 한 번 도전해보는 것으로 해요.”

               그렇게  원고를  건네  받았다.  일  앞에  두고  못  앉아  있는  못된  성미  탓에,  건네  받은  그날부터  어
               마어마한  양의  원고와  끙끙  사투를  벌이기  시작했다.  최웅섭  선교사는  사업의  ‘사’자도  모르고  사
               업가  선교사가  되었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그래도  선교사  신분이었으니  50%  먹고  들어간  셈이
               었다.  나는?  선교의  ‘선’자도  모르고,  사업의  ‘사’자는  더더욱  모르니,  이것을  어찌하리요  싶었다.
               게다가  믿음까지  나약하기  그지  없는  어린아이와  같은  주제에  뭘  믿고  그렇게  당당하게  ‘우리가
               해야  된다’고  했는지,  나의 그 언행도  웃겼다.  그렇다고 이제와 무를 수도  없었다.
               일이  조금씩  진척될수록  걱정거리가  더  생겨났다.  워낙  머리를  안  쓰고  산  지  오래라,  뇌에  이끼

               라도  낀  탓인지  앞에  읽고  돌아서서  뒤에  읽으면  기억이  안  나는  것이었다.  주제에  맞추어  원고
               를  재구성하려면  실시간으로  모든  내용을  기억하고  떠올려서  붙이고  떼고  하며  재배치를  해야  하
               는데,  그것이  안  되니  답답한  노릇이었다.  뇌를  꺼내  맑은  물로  샤워를  시킬  수도  없고,  그렇게
               사투를  벌이면  벌일수록  요상한  시험에  빠져드는  것이었다.  편집장과의  대화에서  내가  어떻게든
               편집장을  설득했다고  생각했는데,  편집장이  어떻게든  나로  하여금  이  일을  하도록  만든  고단수를

               썼던  게  아닌가,  그래서 나를 이렇듯 잠 못 들고 지치게  만들었던  게  아닌가  싶은. 헐~!
               안  되겠다  싶었다.  같이  진행  중이던  다른  모든  일을  일단  접기로  했다.  지은이,  최웅섭이라는  사
               람이  되어보기로  하고,  비즈니스선교  원고에만  감정을  올인해서  몰입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기
               도와  말씀을  함께  가지고  가기로  했다.  지금  하는  일이  단순히  원고의  재구성이나  편집  일이  아
               니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한  자  한  자  읽어  내려가고  편집해나갈  때마다  그  자체가  예배가  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이  책이  나올  때쯤이면  이  초보신자가  주님  앞에  성큼  다가서  있기를  소망했
               다.  물론, 새중앙신문사의  편집장님과  간사님들, 여러 봉사자님들의  중보와 응원도  힘이 되었다.

               몸이  지치고  피곤해서인지  교묘한  것들의  방해공작이었는지  모르겠지만,  이  일을  진행하면서  두
               번의  숨가쁜  가위눌림이  있었다.  남편과  아이들에게는  ‘짜증  대마왕’으로  등극했으며,  거의  한  달
               여 동안  외식 또는 대부분 밥, 국, 김치로 삼시  세끼를 때워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일을  진행한  것에  감사했다.  원고를  한  장씩  털어낼  때마다  참으로  기특한
               생각들이  몰려왔고,  또  그  생각들을  짚어가다  보니  최웅섭이라는  인물을  통로로  주의  능력을  바
               라보게  하심을  느꼈다.  하나님이  들어  쓰신다는,  우리  삶  가운데  하나님의  역사가  임재한다는,  하

               나님이  하고자  하면  안  될  것이  없다는,  이런  표현들을  두고  ‘참~  교회스럽다’  며  삐딱하게  바라
               봤던  나에게 주님  ‘껄껄껄’ 웃으시며 ‘이 녀석아, 이래도  못  믿겠냐?’ 하시었다.
               무엇보다  비즈니스선교에  대한  2년여의  대학원  과정을  수료한  듯  자신감이  샘솟으며,  왠지  실행
               에  옮기면  해낼  수  있을  것  같은  도전의식이  마구마구  솟구쳤다.  이름하여,  ‘최웅섭효과’라  부르기
               로  했다.  일단  책을  여는  순간,  멈출  수  없이  읽어내려  가게  될  것이다.  눈을  뗄  수  없었던  이야
               기를  끝내고  책을  덮는  순간,  이미  ‘최웅섭효과’에  빠져든  후가  될  것이다.  비즈니스선교가  창의적
               접근지역을  여는  마지막  열쇠로서,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지  어떨지는  두고  볼  일이다.  다

               만,  비즈니스를  향한  열정과  선교에  대한  소명을  함께하라는  그의  제안은,  보다  따뜻하고  풍족한
               복음의 영향권  아래로 세상을  집결시키는 일임에는 틀림없는 것 같다.
               2013년 1월 26일  황하
   158   159   160   161   162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