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 Choi wungsub Success story
P. 161
추가적으로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조직체다.
사회적 기업의 마케팅 전략은 크게 2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재원 확보와 수익 창출을
위해 사회적 서비스 계층을 제외한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적 서비스를 받는 계층을 대상으로 주 수혜층을 확대하면서 부가적으로 회사 자체의 수익도
올릴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다.
이러한 사업들에 크리스천 사업가들이 도전하라고 말하고 싶다. 한국에서도 사회적 기업들이
많이 나와야 하고, 실제로 예전에 비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한국의 대기업이 한국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에 어떤 영향력을 주었는가? 물론 한국 경제에 기여한 면은 인정한다.
동시에 얼마나 많은 부정적인 메시지가 많은가? 국민들 정서에는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가
더 많이 기억되고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런 점에서 사회적 기업은 이 시대의 사회와 경제와
노동환경이 선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해주는 대안적인 블루오션(현재 존재하지 않거나 알려져
있지 않아 경쟁자가 없는 유망한 시장)이 될 것이다. 나아가, 선교지에서 비즈니스선교를 꿈꾸는
이들에게도 사회적 기업은 그리스도의 향기를 펼치는 좋은 통로가 될 것이다. 아이디어로
승부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투자비가 적게 들어 창의적 접근지역이나 후진국에서는 고려할 만하고
운영 자체만으로도 국가나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 국가나 지역사회로부터 덕망을 얻으면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등 모든 면에서 사회적 기업은 선교사 사업가에 바람직한
사업체의 방향이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