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제5권_Neat
P. 36

15세기 농업은 다량의 축력을 기반으로 한 노동생산성 중심의 노동절약적 토지집약적 기술에 근거
                  하였다. 16세기 이후의 농업발달은 수전농업(水田農業)과 한전농업( 旱田農業)의 두 갈래로 추진되었

                  는데, 수전농법(水田農法)에서는 회환농법(回煥農法)과 건경(乾耕)법, 그리고 법으로 금지되었던 이
                  앙법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어갔다. 한전농법(旱田農法)에서도 근경(根耕)과 간종(間種)이 일반화되었

                  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작무(作畝)법과 시비법의 개선 특히 구비의 보편화를 낳은 시비법의 발달
                  과 역축의 확대보급, 농구의 분화 및 개발, 전면반전경(全面反転耕)의 보편화 등이 이 시대 농업기술

                  의 고도화를 뒷받침한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농경기술의 발달은 처음 중국농서의 보급에
                  서 비롯된 농학발달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이는 결국 우리 현실에 맞는 새로운 농서의 편찬

                  보급으로 이어져 갔다. 그 이외도 이 시대 농업생산력의 발전은 인구의 급속한 증가, 농지공급의 확
                  대 등에 의해서 더욱 촉진되었다. 조선전기의 인구는 2배 가까이 증가하였는데 이런 강력한 인구 압

                  박은 농업의 성격을 점차 노동집약적인 것으로 전환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하였다. 농지공급은 강력한
                  개간정책을 통하여 이루어졌는데, 이는 수전면적의 확대와 신개간지의 숙전화란 질적인 변화를 낳았

                  다.



                    (1) 수전(水田)농업의 발달

                    조선전기의 벼농사에서는 우리의 독특한 기술인 수전직파 연작법이 15세기 농서인 『농사직설』로

                  정착되었다. 이는 초목무밀처(草木茂密処)와 저택윤습황지(沮沢潤湿荒地) 등의 황무지를 수전으로
                  개간하고 숙전화하는 기술이었다. 이미 15세기에 25종의 수도품종과 3종의 한도(旱稲) 품종이 분화

                  되어 있었다. 한편 『농사직설』의 이앙법은 중간 정도의 수전을 택하여 그중 10분의 1을 못자리로 하
                  여 싹틔운 볍씨를 산파하였다가 모가 약 9㎝ 정도 자라면 이식하였다. 윤답지대에서는 매년 밭작물

                  과 수도가 교대로 경작되었고, 가물어서 직파가 불가능할 때는 한경이 행하여 졌다. 한편 산골짜기여
                  서 수전이 크게 부족한 상경지대에서는 이앙법이 채택되고 있었다. 이처럼 이앙법은 골짜기란 지형

                  조건 때문에 수전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그곳에서 흘러나오는 관개수
                  를 이용하여 전개되었다. 15세기의 조방농법은 16세기 전반으로 전개되면서 부족한 물 자원을 최대

                  한 활용하기 위하여 밭작물과 수도를 매년 교대로 경작하는 회환농법으로 발전시켰다. 16세기 후반
                  에는 건파된 볍씨를 신속히 진압하기 위하여 새로운 농구(토막번지, 사립번지)를 출현시켰고 마른못

                  자리(건양법) 기술을 낳을 정도로 더욱 발전하였다.



                    (2) 한전(旱田)농업의 발달

      오산시사          조선전기의 한전(旱田)은 1년 1작식이 행해진 보통의 한전과 1년 2작식이 행해진 근경전(根耕田)

                  과 휴한전의 세 종류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지배적인 형태는 1년 1작식이었다. 『금양잡록』에 의하
                  면 기장, 조, 콩, 팥, 피, 밀 등 56품종의 한전작물을 소개하고 있으며 농사직설에 의하면 15세기 한전

      제
      5
      권           작물의 파종법은 족종법(足種法), 조파법(条播法), 산파법(撒播法)의 세 형태가 있었다. 사용된 파종


     34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