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제5권_Neat
P. 31

생겨났다. 이렇게 귀족의 토지소유가 확대되어 조선의 농업경영방식은 전장경영방식(田荘経営方式)
                  으로 발전되어 지배층이 직접 소작농민을 양식하게 되었으며 관리들은 퇴직하여 자기의 전장에 서원
                                                                                                                  29
                  (書院)을 설립하고 도제(徒弟)를 교육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경지 규모의 단위를 결(結)로 정하였는데,
                                                                                                                  산업
                  이는 조세를 징수하기 위한 토지의 단위로 토양의 생산성에 따라 그 면적이 다르며 1결에서 곡물을

                  많이 생산하는 사람은 8백 80말(斗), 적게 생산하는 사람은 4백~6백 말이었다 한다.                                               · 경제



                                                 표 6. 각 토지등급별 1결당 면적                                               /  보건 · 환경위생

                         품  전(品田)            면  적(平方尺)             품  전(品田)             면  적(平方尺)
                          1 등 전                227,529               4 등 전                413,449
                          2 등 전                268,324               5 등 전                570,025                 · 사회복지
                          3 등 전                324,900               6 등 전                912,025

                                                                                  주 : 1평(坪)은 36 평방척(平方尺)임          /  사법
                                                                             〈자료 : 주봉규, 『한국농업경제사연구』, 1983〉        · 치안


                    정조 13년(1789) 당시 지금 오산시에 속해있는 옛 지역인 초평면, 청호면, 시봉면, 삼미면, 산성면
                  등의 지역에 총 호수는 1천3백87호에 인구는 4천9백38명으로 호당 인구는 3.4명으로 나타나 있다고                                       · 소방

                  한 사실로 미루어 이 지역에 많은 사람이 모여 살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수원과 오산지역이 경                                         · 언론
                  기도에서는 강화도호부 다음으로 인구가 많았다고 하는데, 그만큼 오산지역에서 농업이 성행하였음

                  을 알 수 있다.
                    그 후 1800년대에 작성된 『수원부읍지(水原府邑誌)』에서는 현재 오산시의 옛 지역이었던 곳의 인구

                  가 4천2백90명이며, 호수는 1천1백66호라고 되어있어 오히려 그 전보다 호수와 인구가 줄었는데, 이
                  는 유행성 전염병의 창궐이나 아니면 당시 세도정치의 심화로 수취제도가 문란하여 어린아이나 죽은

                  사람에게도 군포를 징수할 정도이고 노역이 심해 도망자가 속출하고 출생신고조차 안 할 지경에 이
                  르렀기 때문인 것으로 김추윤(사학자)은 해석하고 있다. 당시 오산의 농민들이 과중한 조세와 노역에

                  의해 얼마나 고통스러운 생활을 하였는지를 짐작케 한다.
                    세조 4년에 무전문민(無田文民)이 3할이라는 한 지방관의 상서(上書)가 말해주듯 예농(隸農), 농노

                  (農奴), 평민 등이 대단히 많았는데 조선농민은 크게 두 개의 계층으로 하나는 자작농민이며 다른 하
                  나는 지주의 토지를 경작하는 전호(佃戸)인데 대부분의 농민은 전호로 평균 경작 토지가 1결로서 6백

                  말을 생산해도 전호의 차지는 3백 말로 소작민은 종자임차금 등을 제외하고 나면 1백 말 정도가 남는
                  다고 하였으니 그 생활상은 참으로 비참하였다. 조선시대 농민들이 국가에 부담하여야할 조세로는

                  경작지에 부과되는 전조(田租)가 가장 컸는데, 관리가 파견되어 작황을 감시하고 과세를 함으로써 공
                                                                                                8)
                  정성이 문제가 되어 조세분규가 잦았다. 그래서 세종 26년(1444)에 전품연분법(田品年分法) 이 창안
                  되어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등급을 정하고 그해의 풍흉을 참작하여 전조률을 정하였다. 이외에 농민






                  8)  최고 풍년 해를 상상년(上上年)으로 잡아 결당 20말을 과세하고, 10% 작황 이하에선 면세되는 제도였다.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