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데이터과학 무엇을 하는가? 전자책
P. 105
I e missed more than shots in my career.
I e ost a most games. times I e een trusted to take the game winning shot
and missed. I e fai ed o er and o er and o er again in my ife. And that is why I succeed.
나는 구 경기에서 9000번 이상 실수를 했다.
또한 거의 300게임을 졌다. 그리고 사람들이 내가 승리의 을 을 것이라 믿었던 게임에서
26번이나 기회를 다. 난 내 인생에서 실 를 하고 또 하고 또 하고 또 했다.
그리고 그 수많은 실 가 내가 성공한 이유이다.
— 마이클 조던(Michael Jordan)
현재 우리가 아는 미국이나 유럽의 빅데이터 성공 사 는 그 이 데이터
활용을 위해 수행한 업무 중 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으로 보이는
그 성공 사 를 기 위해 그 은 과거 년간 수 은 시행 오를
으며 성공과 실 를 거 한 에 지금의 빅데이터 시대를 다.
째마당에서는 필자가 데이터 과학자로서 액시엄에서 수행한 프로젝트
을 살펴 이다. 미국의 회사는 어 과정을 거 지금의 빅데이터 성공
사 을 어 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과학자가 데이
터 활용 과정의 어 부분에 관여해 작업하는지 그 일면을 살펴 과 동시에
미국 로벌 회사가 어 게 비즈니스에 데이터를 활용하는지 알 수 있을
이다.
빅데이터가 무 (What)이 ’는 질문에 해야 했 시대를 지나 지금은 빅
데이터 기술을 기업에 어 게(How) 적용해야 하 ’는 질문에 해야 하
는 데이터 경제 시대를 이하고 있다. 한국의 기업과 기관이 이 질문에 대
한 실마리를 얻는 데 도움이 되 라며, 한국에서도 진 빅데이터 성공
사 가 나타나 학수고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