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 Interview Book(KOR)-2025-01
P. 80
4. 긴급 개선 과제
l 선거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모든 투표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l 사전투표와 전산 조작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도적 개혁이 필요하다.
l 법원과 선관위는 책임 있는 태도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l 시민 단체와 정치 지도자들이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결론:
조직적인 부정행위의 가능성이 드러난 상황에서 한국 선거 시스템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회복하기 위해선 대대적인 조사와 제도적 개혁이 필요하다. 선거 투명성을
강화하고 공정한 절차를 보장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이 시급하다.
위금숙 박사 인터뷰 대화록
Grant Newsham:
저는 이번 조사 끝에 보고서를 부정선거에 대해서 작성할 예정입니다.
Grant Newsham:
2020년 선거에서의 부정 선거 관련 조사를 많이 하셨다고 들었는데, 2024년 총선에서는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위금숙:
2020년부터 우리 총선거, 국회의원 총선거를 통해서 대한민국에서 부정 선거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소송을 통해 선거를 무효로 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여러 가지 증거물을 수집했습니다. 몇 번의 선거가 있었고, 그중에 대통령 선거도
포함되었습니다. 최근에 일어난 총선거까지 전부 조작이 일어났고, 그것도 더 심하고 아주
노골적으로 일어났습니다. 사법기관, 경찰, 검찰은 조사를 안 하고, 법원은 재판을 제대로
안 하고, 언론은 이 사실에 대해 보도를 안 하는 상황이 지금 현재입니다.
Grant Newsham:
그래서 저는 가장 최근인 2024년 4월 총선에서 가장 강력한 증거가 무엇인지 매우 관심이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보신 가장 강력한 증거는 무엇인가요?
위금숙:
제가 아는 바로는 투표한 투표지가 위조된 투표지를 가지고 계산을 했고, 그것을 통해서
조국 혁신당이라고 조국 교수가 창설한 당은 12석을 가져갔는데 도저히 이건 불가능한데
우리가 현장에서 개표할 때 사진을 찍은 투표지를 보니까 이 비례대표 투표는 정당
투표인데 그거는 길이가 50cm 이상 되는데 접은 자국도 없이 그냥 다발로 뭉터기로
쌓아놓고 개표하는 걸 확인했습니다.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