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전시가이드 2022년 08월호2
P. 59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장두건미술상 수상작가 심윤전 | 5. 24 – 9. 12 정영주 개인전 | 7. 27 – 8. 21
포항시립미술관 | T.054-250-6023 김일도 개인전 | 8. 24 – 8. 29 학고재 | T.02-720-1524
콩세유갤러리 | T.02-2223-2510
작가는 老子 『道德經』에 제시된 ‘玄’이라는 도가철학적인 개념을 일원론적
관점으로 수용하고 ‘玄寫’라는 용어로 재해석하였으며, 직접적인 산수기행
을 통해 몸소 체득하고 스스로 느낀 감흥과 경험을 바탕으로 화폭에 고스
란히 표현하고 있다.
심윤은 현대인의 실존적 투쟁의 작업을 작가는 캔버스 위에 한지를 오려 붙이는
이어오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파피에 콜레 기법으로 서로를 의지하듯
작품은 2020년부터 진행해온 ‘SIMCITY’ 기댄 판자집의 형상을 종이로 빚어낸 후
의 연작으로 불특정 인물을 주체로 해 도 물감을 채색하며 소박한 동네의 분위기
시 현대인의 심리를 보여준다. 를 생생하게 드러낸다.
정해민 개인전 | 7. 21 – 8. 9 Art For Green전 | 7. 15 – 9. 3
표갤러리 | T.02-543-7337 한전아트갤러리 | T.02-2105-8191
정상우 개인전 | 8. 18 – 8. 29
에스더갤러리 | T.031-774-6318
캔버스에 디지털로 집을 짓는, 아니 그림 예술은 서로를 바라보는 행위가 만들어
을 짓는 작가다. 포토샵 프로그램을 사 수중 사진작가 정상우는 '듀오 바다의 꿈 -Duo Dream of the Sea"이라는 낸 공존의 다채로운 결과물로 ‘자연과 인
용해서 기존에 존재하는 이미지를 차용 주제로 바닷속의 아름다운 풍경과 신비한 모습들을 선보인다. 작가의 작품 간의 공존’에 대한 의미를 예술에서 발견
하기도 하고 페인팅 툴로 직접 그림을 그 속에서 아름다움을 같이 엿보고자 한다. 하고, 예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내일을
리며 디지털 회화를 작업해왔다. 이야기하고자 한다.
권지안 개인전 | 7. 13 – 9. 13 아아! 동양화전 | 7. 7 – 9. 25
프린트베이커리 | T.02-2022-0120 화이트블럭 | T.031-992-4400
상실의 아픔과 상처를 작품에 담고 희망 회화, 사진, 영상, 설치, 조각 등 다양한
과 극복의 과정의 메시로 지난해 세상을 매체의 작가들이 동양화에서 빠져나오
떠난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기 게 된 계기와 입장을 밝히며 그 속에서
위해 시작한 ‘허밍’은 말과 글의 한계를 동시대 동양화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넘은 ‘언어 초월’의 이야기를 담는다. 의견을 공유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문혜경 초대전 | 8. 10 – 8. 30 조민정 초대전 | 8. 10 – 8. 30 살갖들전 | 7. 27 – 8. 20 김민하 개인전 | 8. 10 – 8. 23
피랑갤러리 | T.031-949-1183 피랑갤러리 | T.031-949-1183 학고재 | T.02-720-1524 희수갤러리 | T.02-737-8869
우리네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하던 길에 내 영감의 원천이자 일부인 꽃과 나무는 회화의 의미를 새롭게 고민해 보는 자리 하얀색 여백의 캔버스와 종이는 새로운
서 숲을 만났다. 들여다볼수록 그 온전한 밝고 환한 긍정의 에너지가 되어, 파랑( 로 몸을 통해서만 감각되는 회화는 사람 시작과 창작의 설렘으로 다가온다. 그림
성질을 알 수 없는 숲의 오묘함에 마음을 파라다이스)를 향한 삶의 여정을 질주하 을 닮은 예술이다. 전시는 회화의 살갗 에 표현되는 조형적인 시각언어들은 음
두고 나의 그림에도 밑바탕 작업에 그 의 던 유년의 추억과 유토피아에 대한 동경 들, 온기 어린 화면과 그 아래의 생명력 악에서의 오케스트라와 같이 함께 어우
미를 두었다. 을 생각하며, 오늘도 작업에 임한다. 을 감각해 보자고 제안한다. 러져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