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3 - 전시가이드 2025년 06월 이북용
P. 83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양창보 개인전 | 5. 23 – 6. 16                                               정유미 개인전 | 5. 28 – 8. 1
           제주갤러리 | T.0507-1395-4728          김성동 개인전 | 6. 23 – 6. 29             한원미술관 | T.02-588-5642
                                             김해문화의전당 | T.055-320-1226

                                   사람은 자기가 흘린 눈물만큼 인생의 깊이를 안다는 말이 있다. 깊은 나락
                                   에 떨어져 어금니 물고 다시 일어서서 오를 수 있어 좋다. 눈물보다 아름다
                                   운 것은 다시 시작하는 용기와 희망이었다.



           제주의 자연은 작가들에게 매혹적인 소                                                  작가는 동양화의 정수를 지키려는 노력
           재지만, 한국화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다                                                 의 하나로동양화의 현재성을 짚어보며,
           룬 예는 드물다. 양창보는 한라산과 오                                                 그 안에서 정체성을 천착하는 다양한 경
           름, 바다 등 제주의 풍경을 꾸준히 그려                                                향과 시각들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스펙
           온 작가로 주목받는다.                                                          트럼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나진 개인전 | 6. 5 – 6. 21                                                서미영 초대전 | 5. 8 – 7. 10
           청화랑 | T.02-543-1663                                                   해피타임갤러리 | T.010-5334-9623






                                             정우경 개인전 | 5. 21 – 6. 3
                                              쌈지안갤러리 | T.02-725-3589
           아기 동물은 현재로 나 혹은 누군가의 어                                                묵상한 말씀을 점. 선. 면으로 표현해내
           린 시절이기도 하다. 작가는 아기 동물을   사랑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라는 의미를 작품에 담은      고 형형색색으로 채색하는 행위는 “귀로
           통해 성인이 될 때까지 피 땀 눈물과 행  뜨개질 무늬로, 세상을 살며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고  생명체가 잉태되어       만 듣던 말씀을 눈으로 본 듯하다. 화폭
           복, 그리고 감사함을 '고마워, 나를 키운   태동하고 성장하는 자연의 원리와도 닮았다.                     의 붓질은 작가로써 꼭 가야 할 길임을
           꽃과 바람아!'라고 표현했다.                                                      깨닫기에 오늘도 달려간다.
           세 가지 재료, 세 가지 언어전 | 5. 16 – 6. 17                                     겸재정선전 | 4. 2 – 6. 29
           최정아 갤러리 | T.02-540-5584                                               호암미술관 | T.031-320-1801









           세 명의 중견작가와 세 명의 미술 평론가                                                정선의 대표작 165여 점이 출품될 예정
           가 ‘나무(木)’, ‘쇠(金)’, ‘흙(土)’이라는 자연                                       이며,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물론 산수화,
           재료를 주제로 총 20점 내외의 작품과 함                                               인물화, 화조영모화 등 다양한 장르의 작
           께 평론가들의 육필원고, 프린팅된 글 등                                                품을 통해 정선의 회화세계 전모를 조명
           을 선보일 예정이다.                                                           하고자 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Talking yourself전 | 6. 19 – 7. 22  조선의 繪畵전 | 5. 1 – 6. 27  송광익 개인전 | 6. 4 – 6. 25  섬 프로젝트 | 5. 1 – 7. 13
           최정아갤러리 | T.02-540-5584  통인화랑 | T.02-733-4867   통인화랑 | T.02-733-4867   화이트블럭 | T.031-992-4400









           삶의  단면을  풀어내는  강준영,  조광훈,  조선의 회화는 한국 미술사상 회화가 가  송광익은 한지가 지닌 역사성과 가능성  ‘섬  프로젝트:  Linking  Island’는시대적
           허보리작가는 도예, 조각, 회화, 드로잉  장 발달한 전성기로 문인화, 풍속화, 민  에 주목한다. 무수한 한지들로 만들어 내  외로움을  ‘섬’이라는  은유로  풀어내며,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 약 15점을 통해,  화 등 여러 다양한 그림이 함께 발달한  는 공간성과 빛의 굴절, 반투명성, 서로  외로움을 단지 개인의 감정을 넘어 사회
           작가들이  감각적으로  시각화한  내면의  조선의 회화는 우리나라 회화사의 가장  부딪힘과 흔들림, 그리고 공간과 공간을  적 문제로 바라보며, 약화된 공동체를 다
           이야기를 만나보볼 수 있다.        중심에 있는 값진 유산이다.         통하게 하는 투과성을 잘 보여준다.    시 연결하려는 시도를 담았다.



                                                                                                     81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